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책&생각] ‘클린 룸’에서 생겨난 ‘태아 산재’

등록 2022-10-14 05:00수정 2022-10-14 10:23

문제를 문제로 만드는 사람들
우리 아이는 왜 아프게 태어났을까, 그 물음의 답을 찾다
희정 글, 반올림 기획, 정택용 사진 l 오월의봄 l 1만8500원

‘클린 룸’(clean room). 먼지 한 톨 없다며 삼성은 반도체 작업장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1999년 세계 최고 안전 사업장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기흥사업장에서만 27명이 직업병 산재 판정을 받고, 이 가운데 12명이 세상을 떠났다. 삼성은 사과했고, 보상을 약속했다. 그렇게 끝나는 듯했다.

아니었다. “우리 사회는 일하는 사람을 일회용품처럼 취급하지만, 유기적인 몸을 지닌 채 타인과 연결돼 살아가는 인간은 일회성 존재가 될 수 없었다. 피해마저 연결됐다.”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쓰인 생식독성물질에 수정란, 정자, 태아가 노출됐다. 아이들은 태어나자마자 아팠다. 이혜주(이하 가명)씨와 김수정씨의 아들은 신장 한 쪽이 없는 ‘콩팥무발생증’ 진단을 받았고, 정미선씨의 아들은 선천성거대결장증으로 대장 전부를 들어내는 수술을 했다.

‘클린 룸’에서 생식독성물질이 사용된다는 걸 이들은 “알고도 몰랐다”. 점점 더 불러오는 이들의 배를 보고도 사측 누구도 생식독성물질의 위험성을 일러주지 않았다. 뜸해지는 생리로, 지독한 두통으로 어렴풋이 짐작할 뿐이었다. 알려 했어도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은 취급 정보 등을 직장 안에 비치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는 현장은 별로 없다.

이들이 겪은 ‘태아 산재’가 특정 사업장과 공정에서 일했던 소수에게만 일어난 불행한 일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생식독성물질에 노출된 가임기 여성은 국내 10만명”에 달한다. 일터가 나와 태아에게 얼마나 유해한지 파악하기는 여전히 불가능에 가깝다. 지금 당장, 이 문제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최윤아 기자 a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1.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2.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내가 정치인이냐? 내가 왜?”… 임영웅 소속사는 아직 침묵 중 3.

“내가 정치인이냐? 내가 왜?”… 임영웅 소속사는 아직 침묵 중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4.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2024년 음원 강자는 아이유·임영웅·에스파 5.

2024년 음원 강자는 아이유·임영웅·에스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