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전문가 김준수 교수
기존 임석진 번역본에 도전장
서양 철학사 가장 난해한 저작
‘원문에 충실한 직역’으로 승부
기존 임석진 번역본에 도전장
서양 철학사 가장 난해한 저작
‘원문에 충실한 직역’으로 승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김준수 옮김 | 아카넷 | 2만4000원~2만6000원 <정신현상학>(1807)은 독일 관념철학 거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1770~1831)의 청년기 마지막을 장식하는 저작이자 헤겔 철학의 첫번째 주저로 꼽히는 책이다. <정신현상학>의 한국어판은 이제까지 헤겔 전문가 임석진(1932~2018)의 번역본(한길사, 2005)이 정본으로 통용돼 왔다. 하지만 이 판본에 대해 헤겔 연구자들 사이에 여러 이의가 제기됐고 새로운 번역본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꾸준히 나왔다. 이런 분위기를 타고 이번에 또 다른 헤겔 전문가 김준수 부산대 철학과 교수가 <정신현상학>의 새로운 번역본으로 임석진 판본에 야심 찬 도전장을 내밀었다. “원본에 충실하고 학문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완역을 최우선 목표이자 원칙으로 삼은” 번역본이다. 이로써 <정신현상학>의 한국어판은 임석진본과 김준수본이 경합하는 체제로 들어섰다. <정신현상학>은 서양 철학의 역사 전체를 통틀어 가장 난해한 저작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따라서 번역자가 어떤 자세로 이 저작에 다가가느냐, 어떤 방식으로 내용을 이해하느냐에 따라 번역 문장이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새 번역본의 옮긴이는 ‘해제’를 통해 자신의 번역 원칙을 밝혀놓았다. 우선 임석진본이 가독성을 앞세워 원문을 과감히 풀어서 옮긴 데 맞서 원문에 충실한 직역을 번역 원칙으로 세웠다고 강조한다. “원문의 구문론적 복잡성과 의미론적 모호성, 심지어 문법적 오류까지도 윤색하기보다는 가급적 번역문에서 드러날 수 있도록 문장을 구성했다.” 또 기존 번역본이 헤겔 사후 1832년에 나온 제2판을 기준으로 삼은 것과 달리, 새 번역본은 1807년 헤겔이 직접 펴낸 초판본을 저본으로 삼았다. 헤겔은 초판이 절판된 뒤 1831년 가을 제2판을 준비하면서 수정할 대목을 손으로 써나갔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수정 작업이 중단되고 말았다. 기존 판본은 이 수정 사항을 본문에 넣었으나, 새 번역본은 헤겔의 수기를 각주로 실었다. <정신현상학>이 난해해진 것은 헤겔 사유 자체의 독특함과 심오함이 가장 큰 이유겠지만, 집필과 출간을 둘러싼 복잡한 사정도 내용이 어려워지는 데 한몫을 했다. 당시 예나 대학 강사였던 헤겔은 정규 교수라는 안정된 자리를 얻고자 했으나, 그러려면 학문적 탁월성을 보여줄 저서를 서둘러 출간할 필요가 있었다. 헤겔은 출판사와 기한을 정해놓고 <정신현상학> 집필에 들어갔지만 마감은 끝없이 늦춰졌다. 더구나 이 책을 집필하던 시기는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로 등극한 뒤 프로이센과 전쟁을 치르던 때였다. 헤겔이 머물던 예나가 그 전쟁의 격전장이었다. 시간에 쫓긴 헤겔은 1806년 봄 <정신현상학> 절반에 해당하는 원고를 먼저 출판사에 넘겨 인쇄에 부치고 나머지 절반은 그해 10월에야 출판사에 보냈다. 그러고 난 뒤 ‘서문’을 새로 써 이듬해 1월 인쇄에 넘겼다. 이렇게 원고가 채 완성되지도 않은 채 인쇄에 들어간 탓에 그렇잖아도 난삽한 본문이 더 어지러워졌고, <정신현상학> 이해를 둘러싸고 여러 쟁점이 발생했다.
독일 관념철학의 거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위키미디어 코먼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