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30년대 김복진과 이상
김민수 지음 l 그린비 l 2만5000원 “푸시킨, 도스토옙스키, 톨스토이, 그 밖의 등등을 현대의 증기선으로부터 던져 버려라.”(1912년 부를류크, 크루체니흐, 마야콥스키, 흘레니코프의 시 ‘대중의 취향에 따귀를 때려라’) 러시아를 제국에서 공산주의 국가로 전환시킨 1905년 5월 혁명과 1917년 10월 혁명 전후, 러시아에선 과거와 단절하겠다는 급진적 에너지가 가득했다. 그 열정이 예술 분야에서 폭발한 것이 바로 러시아 아방가르드 운동이다. 그 핵심에는 구축주의가 있었는데, 구축주의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물과 건축 등으로 새로운 물질 환경을 조성하고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겠다는 이념적 목적을 지향했다. 1932년 스탈린 정권이 공식 미학을 구축주의에서 사회적 리얼리즘으로 대체하면서 아방가르드 예술은 소멸했지만, 사진 몽타주 기법 등으로 세계 디자인과 건축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런 구축주의는 현대 디자인과 건축 분야와 직결된 매우 치열한 개념임에도, 국내선 일본을 통해 소개된 ‘구성주의’라는 미술의 한 유파 정도로 느슨하게 인식돼 왔다는 것이 이 책의 문제의식이다. 구성주의는 현실에서 벗어난 내면세계를 표현한 예술인 데 반해, 구축주의는 목적을 지향하면서 개인과 사회의 운동성과 공명하는 예술로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지은이 김민수 서울대 디자인학부 교수는 한국 구축주의의 기원으로 김복진과 이상을 호명하며, 이들이 구축주의를 자양분으로 삼아 어떻게 절망적인 식민지 현실에서 새로운 예술을 창조해냈는지 탐구한다.
김복진의 <문예운동> 창간호 표지(1926년 2월)는 작업대와 복잡한 기계부품을 방불케 하며, 서지 정보를 분리시켜 사각형들이 관계 맺는 방식으로 시각화한 ‘공간 구축’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린비 제공
이상의 ‘선에관한각서 3’에서 9개의 점 행렬과 이에 대칭을 이루는 또 다른 9개의 점 행렬을 좌표의 숫자가 뒤집힌 구조로 제시했다. 이 시는 상대성 이론에 기초해, ‘우주적 곡률공간’ 내에서 발생한 위상공간의 이동을 상상하게 한다. <조선과 건축> 1931년 10월호 발표. 그린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