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책&생각] ‘내’가 없는 글은 얼마나 무용한가

등록 2022-08-05 05:00수정 2022-08-05 10:09

영화가 내 몸을 지나간 후
정희진 지음 l 교양인 l 1만6000원

새로운 언어를 위해서 쓴다
정희진 지음 l 교양인 l 1만6000원

“‘넌 참 이상하게 영화를 본다’… 이 책은 이런 반응에 대한 나의 이야기다.”

같은 영화를 보고도 생판 다른 대사에 꽂힌다. 최고로 꼽는 장면도 제각각, 영화의 메시지를 정반대로 해석하기도 한다. 여성학자 정희진의 새 책 <영화가 내 몸을 지나간 후>를 읽고 나면, 타인과 포개어지지 않는 오직 나만의 ‘이상한’ 감상이 오독이나 오해가 아니라, 지극히 자연스럽고 타당하기까지 한 반응이었다는 사실에 안도하게 된다.

여성학자 정희진. &lt;한겨레&gt; 자료사진
여성학자 정희진. <한겨레> 자료사진

정희진은 이 책에서 ‘객관’보다 더 정의로운 ‘주관’을, ‘보편’보다 더 품이 넓은 ‘개별’을, ‘전체’보다 더 정확한 ‘부분’을 확신에 찬 어조로 말한다. “나는 언제나 나만의 부분적 시각이 독창적 글쓰기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 부분적 관점은 사회에서 통용되는 지배적인 객관성 개념에 나의 목소리를 보내고 조율하고 틈새를 내는, 공동체의 생존을 위한 중요한 실천이다.”

‘부분적’이라는 것은 곧 ‘나’로부터 길어올렸다는 의미다. 나의 위치, 나의 시각, 나의 경험에서 뻗어나가지 않은 글의 무용함을 그는 매섭게 질타한다. “글을 읽었는데 글쓴이에 대해 아무것도 알 수 없는 글, 즉 제목 아래 어떤 이름을 붙여도 무관한 글은 생산자 표시가 없는 상품이다. 사기요, 불량품이다.” 저자는 이 책을 “영화와 글쓰기를 좋아하는 이들을 위한 나의 글쓰기 레시피 공개서”라고 스스로 정의하는데, 이 레시피의 ‘한 끗’은 언제나 나라는 인간의 개별성에 있다.

드라마 &lt;우리들의 블루스&gt;. 티브이엔 제공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티브이엔 제공

책에는 저자가 자신을 주재료로, 영화를 부재료로 만들어낸 독특한 맛의 영화 평론 18편이 담겼다. 최근 인기리에 종영한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 대한 글도 있다. “나에게 이 작품의 주제는 ‘나이듦’이었다. (…) 나이는 다른 사회구조와 다르게 ‘어려도, 어중간해도, 늙어도’ 맥락에 따라 차별받는다. 그래서 모두가 피해자라고 싸운다.”

영화 <암수살인>을 다룬 글에서는 ‘완전 범죄’를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의 관점에서 재정의한다. “‘완전 범죄’는 머리 좋은 가해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피해를 파악할 수 없는 범죄가 완전 범죄다. (…) 암수살인의 대상이 되는 이들은 이주자, 난민, 노약자, 빈곤층, 여성 등 취약계층이 대부분이었다.” 중년 여성학자의 몸을 통과한 영화는 이렇게 다른 맛을 낸다.

<새로운 언어를 위해서 쓴다>도 함께 출간되어, 총 5권인 ‘정희진의 글쓰기’ 시리즈가 완간됐다. <영화가…>가 ‘어떻게 쓰는가’에 대한 답이라면, <새로운…>은 ‘어떻게 공부(사고)하는가’에 대한 답처럼 느껴진다. 정희진은 이 책에서 아는 것은 힘이 아니라 덫이라고 경고하면서, 아는 것에서 “탈출”케 하는 인식론적 방법론인 ‘융합’에 대해 설파한다.

최윤아 기자 a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1.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2.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이승환, 13일 윤석열 탄핵 집회 무대 선다…“개런티 필요 없다” 3.

이승환, 13일 윤석열 탄핵 집회 무대 선다…“개런티 필요 없다”

탄핵 힘 보태는 스타들…“정치 얘기 어때서? 나도 시민” 소신 발언 4.

탄핵 힘 보태는 스타들…“정치 얘기 어때서? 나도 시민” 소신 발언

우리가 지구를 떠날 수 없는, 떠나선 안 되는 이유 5.

우리가 지구를 떠날 수 없는, 떠나선 안 되는 이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