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책&생각] 부장님은 왜 카톡마다 말줄임표를 쓸까?

등록 2022-06-24 05:00수정 2022-06-28 10:39

인터넷 때문에
인터넷은 우리의 언어를 어떻게 바꿨을까
그레천 매컬러 지음, 강동혁 옮김 l 어크로스 l 1만9000원

50대 부장님은 ‘카톡’ 메시지마다 말줄임표(…)를 붙여, 팀원들이 점 개수로 부장님의 마음 상태를 추측하게 만든다. 반면 엠제트(MZ)세대 팀원들은 문장 하나도 메시지 다섯개로 나눠 ‘다다다다’ 보내 부장님을 어질어질하게 만든다. ‘네.’ ‘네!’ ‘넵’ ‘넹’ ‘네엡’ 등을 상황에 따라 잘 골라 쓰고, 카톡이 아닌 이메일에도 마침표(.)와 느낌표(!)를 섞어 써야 불필요한 오해를 줄일 수 있다는 건 직장인들 사이 암묵적 규칙이 된 지 오래다.

언어학자이자 인기 팟캐스트 <언어학 열정>(Lingthusiasm)의 공동 제작자인 그레천 매컬러가 쓴 책 <인터넷 때문에>는 인터넷이 지난 30년간 만들어 온 언어학적 혁신을 추적한다. 비틀스 멤버들이 1970년대 말 주고받은 엽서에서 부장님 카톡 말줄임표의 기원을 찾고, 미국의 한 대학 구성원들이 1982년 온라인 게시판에 남긴 토론에서 오늘날 이모지와 이모티콘의 원형인 ‘:-)’의 탄생사를 찾는다.

저자는 인터넷 때문에 생긴 언어 변화를 ‘오용과 파괴’라고 비판하고 부정하는 건 “구식 라틴어 숭배를 고수하는 행위”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한다. “흘러간 강물에 다시 발을 담글 수 없듯, 흘러간 언어에 또 발을 담글 수는 없다.” 인터넷 언어의 유연함이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오히려 높여준다는 저자의 확고한 입장은 책 제목에도 드러난다. 영어 원제는 ‘비코즈 오브 디 인터넷(Because of the Internet)’이 아닌 ‘비코즈 인터넷(Because Internet)’. 무엇이 생략됐는지 누구나 명백히 알 수 있는 상황에서 효율성을 추구하려 기꺼이 격식을 파괴하는 일을 저자는 “사랑해 마지않는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