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젊음=건강’이란 공식, 그저 편견일 뿐!

등록 2022-01-14 04:59수정 2022-01-14 11:48

젊고 아픈 여자들
미셸 렌트 허슈 지음, 정은주 옮김 l 마티 l 1만9000원

어쩐지, ‘젊음+질병’은 ‘청춘+죽음’보다 낯선 조합 같다. 차라리 요절은 인간의 비극적 운명, 곧 ‘필멸성’의 은유로 받아들여지지만, ‘젊음=싱싱함’이 당연시되는 사회에서 병에 찌든 젊은이의 삶은 상상하기 쉽지 않다.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젊은이는 자연스럽게 ‘마이너리티’로 전락하는데, 여기에 인종·성·계급 등에서의 소수자성이 겹쳐진다면(가령 흑인+퀴어+저소득층+HIV 보균자) 그가 숨 쉴 공간은 더욱 비좁아진다. <젊고 아픈 여자들>은 20대에 갑상샘암, 라임병 등을 얻은 여성 퀴어 작가가 수집한 젊은이들의 수많은 ‘삶’이다. ‘암은 사무실 문 앞에 두고 출근하라’는 냉혹한 상사의 말에 상처받은 사연, 데이트에 앞서 엉덩이에 거즈 패드를 끼우면서 불안해 하는 크론병 환자, 낭만적인 하룻밤을 보내기 직전 심장이식 수술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릴까 말까 고민하는 여성의 사례가 등장한다. 환자라는 사실이 연인에게 ‘짐’이 될까 봐 폴리아모리(독점 없는 다자간 사랑)를 선택한 경우도 있다.

사회는 젊은이들이 병과 싸워 ‘승리’하길 기대한다. ‘미스 아메리카’에 출전한 탈모증 여성이 모범 사례로 칭찬받는 이유다. 하지만 지은이가 보기에 이는 “인간의 몸이 병에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가에 대한 편향된 기대”를 강화시킬 뿐이다. 우리가 아픈 젊은이들로부터 얻을 교훈은 사회는 정상-비정상이란 이분법으로 나뉠 수 없으며 다양한 스펙트럼의 인간들로 구성됐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단지 타인에게 관용을 베푼다는 의미가 아니라, 어차피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열쇳말이기도 하다.

이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믿음’이 당신을 구원, 아니 파멸케 하리라 [.txt] 1.

‘믿음’이 당신을 구원, 아니 파멸케 하리라 [.txt]

[꽁트] 마지막 변신 2.

[꽁트] 마지막 변신

500억 들이고도 2%대 시청률…우주로 간 콘텐츠는 왜 잘 안될까 3.

500억 들이고도 2%대 시청률…우주로 간 콘텐츠는 왜 잘 안될까

‘인공초지능’ 목전, 지능의 진화 다시 보다 [.txt] 4.

‘인공초지능’ 목전, 지능의 진화 다시 보다 [.txt]

일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 “조성진이 롤모델…임윤찬은 놀라운 재능” 5.

일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 “조성진이 롤모델…임윤찬은 놀라운 재능”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