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근대화’에 양식 제공한 한국 사회과학의 계보

등록 2021-10-01 07:18수정 2021-10-01 09:06

홍정완 연세대 HK연구교수
‘근대화’ 열쇳말로 사상사 연구
4월혁명·군사쿠데타에 이르는
학술·지식체계 자체의 지형도

한국 사회과학의 기원
이데올로기와 근대화의 이론 체계
홍정완 지음 l 역사비평사 l 3만원

해방 이후 한국전쟁, 4월혁명과 5·16 군사쿠데타 등의 격변이 이어진 1950~60년대는 한국 자본주의 체제 건설의 기본적인 방향이 형성됐던 시기다. 한국 근현대 사상사를 연구하는 홍정완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 인문한국(HK)연구교수는 최근 펴낸 저작 <한국 사회과학의 기원>에서 제목 그대로 바로 이 시기에서 지금 체제의 ‘기원’을 찾아보려 시도한다. “한국 사회가 처한 역사적, 세계적 ‘현실’과 실천적 ‘전망’에 관한 이념적, 지적 프레임을 제공한 대표적인 집단은 사회과학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책은 “그동안 학계의 관심을 받지 못한 이념적, 지적 체제”를 주된 탐구 대상으로 꼽고, 이를 ‘사상사’의 관점에서 조명하려 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동안 사상사 연구에서는 특정 인물의 사상적 궤적을 쫓고 이를 이어붙이는 방식이 대다수였는데, 이런 경향을 탈피해 특정 시기의 학술·지식 체계 자체의 지형도를 그려보겠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근대화’라는 용어로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 전반까지 남한의 자본주의 체제 건설을 둘러싸고 나타났던 사상적 동향을 아우른다. 좁은 의미에서 근대화는 1950년대 말에서 60년대 초반 미국 케네디 정권의 등장과 함께 영향력을 확대한 ‘미국발 근대화론’을 가리키지만, 지은이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주변부 지역에서 민주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등 다기한 방식으로 펼쳐진 ‘보편적 근대성’에 대한 추구 역시 넓게 근대화 담론으로 포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먼저 정치학 분야를 살펴보면, 정부 수립 이후 ‘사회민주주의적’ 경향이 주류를 이루다가 한국전쟁 뒤 국가 체제를 중심으로 “동질적이고 통합적인 정치질서”를 구축하는 데에 주된 관심이 쏠리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신도성 등의 학자들이 일본 정치학자 야베 데이지의 ‘협동적 민주정’ 이론에 영향을 받은 것이 이런 경향을 보여주는데, “‘분단’ 국가로서 체제건설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해야 하는 상황인 동시에, ‘탈식민’ 국가로서 식민지배의 유산을 탈각하고 자주적인 국가·사회 체제건설의 문제에 직면”한 현실이 배경에 있었다. 1950년대 후반 정치학계는 미국발 ‘행태주의’ 정치학을 수용하며 또다시 크게 재편된다. 대표적 학자 윤천주의 경우에서 보듯, 행태주의 정치학의 수용은 ‘저개발국가’의 불균형·불안정성을 부각하고 대중의 정치적 열망이나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배격하는 방식으로 근대화와 민주화를 강하게 결부시켰다.

1955년 ‘반둥회의’로 알려진 아시아-아프리카 비동맹국가 회의에 참석한 ‘제3세계’ 나라의 수장들. 전후 한국 지식계에서는 ‘제3세계’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운동에 대체로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출처 위키미디어 코먼스
1955년 ‘반둥회의’로 알려진 아시아-아프리카 비동맹국가 회의에 참석한 ‘제3세계’ 나라의 수장들. 전후 한국 지식계에서는 ‘제3세계’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운동에 대체로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출처 위키미디어 코먼스

해방 이후 줄곧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영향력이 컸던 경제학계에서는 한국전쟁 뒤 자본주의를 ‘객관적 필연’으로 인정하는 흐름이 두드러졌다. “자본주의는 지양될 운명”이라 했던 최문환은 전후엔 “우리의 경제 문제는 근대적 자본주의 제도의 모순 이전의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후진국’의 경제성장 문제에 활용될 여지가 크다는 점에서 케인스 경제학이 주목을 받았다. 1950년대 들어 경제학자들은 주변부 국가들이 혁명보다는 서방세계의 적극적인 경제원조, 무역관계의 재조정 등과 결합해야 경제개발에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 일본 경제학자 이타가키 요이치를 적극 참고하는 등 ‘후진국 개발론’에 열중했다. 모리스 돕, 라그나르 넉시 등의 후진국 경제개발에 대한 이론들에 영향을 받기도 했다.

지은이는 특히 1950년대 후반까지 한국 지식인들이 ‘후진성’을 극복해야 한다는 담론에 열중하는 한편 이른바 ‘제3세계’에서 분출하던 이데올로기나 운동으로서의 ‘민족주의’에는 대체로 거리를 뒀다는 점에 주목한다. 당시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서 ‘후진성’ 문제는 후진된 상태를 비추는 거울이었던 ‘서구의 역사적 발전’, 특히 ‘근대사회로의 발전’ 과정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의 문제와 직결된 것이었다.” 이 때문에 ‘제3세계’에서 발흥하던 민족주의에 대해 ‘후진성’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한편, 그보다는 ‘활력 있고 유능한 정부’를 더욱 중요시하는 태도가 있었다.

4월혁명은 이념이자 운동으로서 민족주의가 새롭게 대두하는 계기를 제공했는데, 지은이는 여기에 크게 두 가지 흐름이 있었다고 본다. 하나는 자유민주주의로는 ‘발전체제’를 수립하기 어렵다며 산업화를 향한 ‘민족적인’ 정치·경제체제의 건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흐름으로, 일각에서는 이를 위해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선의의 현명한 독재자”가 필요하다고까지 언급했다. 다른 하나는 ‘제3세계’의 반제국주의와 반식민주의에 공명하며 ‘탈냉전’적 변혁 이념과 운동을 추구한 흐름이다.

미국의 경제학자 월트 휘트먼 로스토. 5·16 군사쿠데타 세력은 그의 ‘근대화’론과 ‘제3세계’ 민족주의 흐름을 입맛대로 활용해 쿠데타를 정당화했다. 출처 위키미디어 코먼스
미국의 경제학자 월트 휘트먼 로스토. 5·16 군사쿠데타 세력은 그의 ‘근대화’론과 ‘제3세계’ 민족주의 흐름을 입맛대로 활용해 쿠데타를 정당화했다. 출처 위키미디어 코먼스

이를 입맛대로 전유(專有)한 것은 5·16 군사쿠데타 세력이었다. 이들은 “4월혁명 이후 대두했던 민족주의적 흐름 중에서 ‘제3세계’ 민족해방운동에 연대의식을 표명했던 흐름은 강력히 탄압하면서도, ‘후진성’의 탈피, 산업화를 향한 민족적 정치·경제체제의 건설을 주장했던 흐름에 편승하여, 스스로가 4월혁명의 진정한 계승자이자 아시아·아프리카 지역 민족주의 물결의 일환임을 자처했다.” 이들은 후진국 경제발전의 동력으로 민족주의에 주목했던 월트 휘트먼 로스토의 근대화론에 기대어 민족주의를 근대화의 수단으로 앞세웠고, 여기에 동조한 지식인들은 “혁명을 거치지 않으면서 급속한 공업화를 취할 수 있는 방법은 국가에 의한 자본조달의 강제적 조직화” 등의 언설로 이를 뒷받침했다.

지은이는 무엇보다 이런 역사적 과정들이 ‘미국발 근대화론’의 영향으로 피상적으로만 풀이되는 것을 경계하는 태도를 취한다. “그와 함께 움직였던 주변부 사회의 조건과 열망이 갖는 힘과 위상이 중요한 해명과제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격동의 시기에 현실과 이론을 가로지르며 만나고 경합했던 다양한 지적 체계들의 부침과 그 계보에 대한 촘촘한 탐구가 ‘사상사’ 연구라는 이름에 값한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1.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2.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3.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이승환, 13일 윤석열 탄핵 집회 무대 선다…“개런티 필요 없다” 4.

이승환, 13일 윤석열 탄핵 집회 무대 선다…“개런티 필요 없다”

우리가 지구를 떠날 수 없는, 떠나선 안 되는 이유 5.

우리가 지구를 떠날 수 없는, 떠나선 안 되는 이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