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영남

부마민주항쟁 부산지역 즉결심판 피해자 명단 확인됐다

등록 2021-04-15 17:37수정 2021-04-16 02:40

국정원 자료 통해 526명 확인
1979년 10월 부산마산민주항쟁 당시 계엄령이 선포되자 부산시청(부산 중구 중앙동) 앞에 탱크들이 배치됐다.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제공
1979년 10월 부산마산민주항쟁 당시 계엄령이 선포되자 부산시청(부산 중구 중앙동) 앞에 탱크들이 배치됐다.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제공

박정희 유신독재를 무너뜨린 계기가 된 부마민주항쟁의 즉결심판 피해자들이 명예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 및 관련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는 15일 국가정보원 자료를 수집 검토해 부마민주항쟁에 참여했다가 즉결심판에 회부된 526명을 모두 확인했다고 밝혔다. 심의위는 군검찰로 송치된 구속자 2명과 경남 마산의 즉결심판 대상자 3명도 추가로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심의위는 그동안 관계기관 자료 폐기 등으로 부산지역 즉결심판 대상자를 확인하는 데 애를 먹었다. 피해 대상자를 특정할 수 없어 피해 사실 신고 안내조차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관련 피해자가 심의위원회에 피해 신고를 해도 자료 부족 탓에 확인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날 기준 부산지역 즉결심판 대상자 가운데 위원회에 피해 신고를 한 사람은 40명에 불과하고, 이 가운데 29명이 관련자로 인정됐다.

결과적으로 486명은 부마민주항쟁에 참여해 처벌을 받고도 이를 신고하지 않은 셈이다. 심의위는 이들이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명예회복에 나설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또 증거자료 불충분 등을 이유로 기각 또는 의결보류 결정을 받은 신청인의 재심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심의위는 “(국정원에서 받은) 수집 자료를 자세하고 꼼꼼하게 살핀 뒤 조사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추가 진상조사를 진행해 조사보고서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16일 부산대에서 시작된 반유신·반독재 시민항쟁이다. 부산과 경남 마산 시민들이 궐기하자 박정희 정권은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공수특전여단을 투입해 강제 진압했다. 같은 해 10월26일 김재규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박정희 대통령을 저격했고 유신독재는 막을 내렸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모텔 입주 안산 6층 건물서 불…51명 구조, 2명 중상 1.

모텔 입주 안산 6층 건물서 불…51명 구조, 2명 중상

“기차 말고 버스를 타라고요?”…열차운행 시작한 서화성역 가보니 2.

“기차 말고 버스를 타라고요?”…열차운행 시작한 서화성역 가보니

[영상] 명태균, 구속 12시간 만에 또 조사…검찰 “돈 관계 혐의 부인해” 3.

[영상] 명태균, 구속 12시간 만에 또 조사…검찰 “돈 관계 혐의 부인해”

누가누가 잘 망했나?…올해도 카이스트 ‘실패 자랑’ 대회 4.

누가누가 잘 망했나?…올해도 카이스트 ‘실패 자랑’ 대회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5.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