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 앞 녹음광장 등대 주위에 설치된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대기하고 있다. 김광수 기자
30일 오후~31일 오전(24시간) 사이 부산시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9명)가 지난해 11월22일 오후~23일 오전(5명) 이후 70일 만에 한자릿수로 떨어졌다. 비수도권 지역 가운데 가장 대규모로 운영 중인 임시선별검사소가 제구실을 톡톡하게 해내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부산시는 “지난해 12월19일부터 지난 29일까지 42일 동안 임시선별검사소를 운영해 확진자와 접촉자 59명과 비접촉자 54명 등 모두 113명의 양성 판정자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주목할 점은 ‘숨은 감염자’인 비접촉자 54명이다. 확진자의 접촉자는 보건소에서 의무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확진자와 동선(이동 경로)이 겹치지 않은 비접촉자는 증세가 나타나더라도 보건소 검사를 꺼릴 수밖에 없다. 이름·주소·연락처 등 신분을 밝히고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가격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임시선별검사소는 이름·주소를 요구하지 않고, 연락처만 적으면 된다. 확진 판정 때까지 자가격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이 기간에 부산시민 8만1375명이 부담 없이 임시선별검사소를 찾았고, 이 가운데 0.14%인 11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부산시는 “비접촉자가 검사를 받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면 지역사회 감염의 온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임시선별검사에서 찾아낸 비접촉자 54명은 숨은 감염자로 볼 수가 있어 의미 있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부산시는 접촉자들까지 임시선별검사소를 찾는 것을 막기 위해 일일 코로나19 브리핑에서 “접촉자로 분류된 분이 보건소가 아니라 임시선별검사소에서 검사를 받으면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부산시는 애초 15곳의 임시선별검사소를 3주 동안 운영하기로 했으나 반응과 성과가 좋자 1차 연장 운영에 들어간 데 이어, 6곳(부산역·부산진구·연제구·북구·해운대구·기장군)은 구·군·민간병원과 협력해 길게는 2월14일까지 2차 연장 운영 방침을 밝혔다.
임시선별검사소는 서울에서 더욱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해 12월14일부터 임시선별검사소를 운영하는 서울시도 1월17일까지만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임시선별검사소가 일반 보건소에서 하는 선별진료소보다 훨씬 지리적, 거리적으로 접근성이 좋고 익명검사 하는 것도 시민들이 더 적극적으로 검사할 수 있었다”(박유미 방역통제관)며 2월14일까지 연장 운영을 결정했다.
지난해 12월16일 첫 검사 결과가 나왔을 때 서울시 임시선별검사소를 통해 3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지난 7일에는 10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당일 전체 확진자(191명)의 절반 이상이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였다. 지난 30일까지 76만명가량이 서울시 임시선별검사소를 다녀갔으며, 이 가운데 2160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김광수 김양진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