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동안 갈등을 빚어온 팔공산 구름다리의 운명이 이르면 22일 결정된다. 어떤 결과가 나오든, 찬반 대립이 극심했던 탓에 후폭풍이 예상된다.
팔공산 구름다리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16년 3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구시가 대구관광종합발전계획을 세우며 처음 구상했다. 팔공산 케이블카 정상역이 있는 신림봉(820m)과 팔공산 최고봉인 비로봉(1193m) 아래에 있는 낙타봉(917m)을 국내에서 가장 긴 구름다리(길이 320m·너비 2m)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어 시는 2017년 5월 구름다리 설치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기본 실시설계 용역을 시작했지만, 시민단체 반발로 중단됐다. 경관과 환경이 훼손되고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다. 대구시는 지난해 5월 구름다리 건설을 놓고 제16회 대구시민원탁회의를 열어 참가자들에게 토론과 투표를 하게 했다. 그 결과, 투표한 183명 중 60.7%가 찬성표를 던졌다. 하지만, 구름다리 건설에 반대하는 시민단체와 학계에서는 참여하지 않았다.
지난 3월21일 대구 동구 용수동 팔공산 케이블카 정상역에 케이블카가 들어오고 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대구시는 이를 명분으로 사업을 다시 추진해 지난 10월 기본 실시설계 용역을 마치고 지난달 24일 공사 입찰 공고도 냈다.
이 과정에서 대한불교 조계종은 지난 8일 “스님들의 수행 환경이 저해된다”며 구름다리 설치사업 철회 요청 공문을 대구시에 보냈다. 전국 20대 명산에 꼽히는 팔공산에는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가 있다.
이에 구름다리 사업에 찬성하는 팔공산 상가연합회는 동화사에서 항의 집회를 벌이고 있다.
이처럼 말 많은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 예산 180억원은 대구시와 정부가 각각 110억원과 70억원씩을 부담한다. 만일 대구시가 23일까지 공사 업체를 선정하지 않으면 정부에게서 받은 25억원을 반납해야 한다. 돈이 없는 대구시는 애초 지방채를 발행해 돈을 조달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국비를 반납하면 사업 추진은 매우 어려워진다.
박희준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조계종 쪽을 계속 설득하고 있다. 이번 주 사업 추진 여부가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단체가 반대하던 주요 명산 개발 사업에 잇따라 제동이 걸렸다. 경남 하동군은 지리산에 케이블카, 모노레일, 리조트 등을 만들 계획이었지만, 기획재정부에 의해 지난 11일 좌초됐다. 앞서 전북 진안군도 마이산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했으나, 환경부의 반대로 지난 6월 백지화됐다. 또 강원 양양군 등이 추진해온 설악산 오색케이블카도 지난해 9월 환경부에 의해 무산됐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