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탈핵부산시민연대가 안전성 최우선 관점에서 해체계획 재검토를 정부와 한수원에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의 탈핵단체가 고준위 핵폐기물 대책도 없이 해체에만 초점을 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고리원전 1호기 해체계획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탈핵부산시민연대는 30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수원의 고리원전 1호기 해체계획서에는 고준위 핵폐기물의 임시저장 대책 등이 빠져있다. 정부 등은 안전성 최우선 관점에서 해체계획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탈핵부산시민연대는 “핵발전소 해체는 고준위 핵폐기물의 인출과 관리에서 시작해야 한다. 해체계획서에는 고준위 핵폐기물을 임시저장시설에 꺼내놓고 핵발전소의 해체를 시작한다고만 돼 있다. 임시저장시설에 대한 논의조차 시작하지 않았는데 어디에, 어느 시설에 핵폐기물을 쌓아둘 것인지도 없는 허술한 계획이다”고 지적했다.
탈핵부산시민연대는 또 “한수원은 고리원전 1호기 해체 방식에서 ‘즉시 해체’를 채택했다. 지난 7~8월 열린 고리원전 1호기 해체와 관련한 주민 설명회와 해체계획서 초안 열람에서 당시 주민들은 즉시 해체가 아닌 ‘지연 해체’를 요구했다. 안전성을 고려해 지연 해체로 진행해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동이 멈춘 핵발전소 해체 방식은 방사능 준위가 자연적으로 낮아지기를 기다렸다가 30~40년 뒤 작업하는 지연 해체와 화학 요법과 물리적 기술을 활용해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 뒤 작업하는 즉시 해체 방식이 있다.
박철 탈핵부산시민연대 대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걸린 문제다. 핵발전소 해체 원천기술이 없는 현실에서 해체작업을 서두르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정부 등은 핵발전소 해체기술을 먼저 확보하는 등 핵발전소 해체 정책과 계획을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전 1호기는 1978년 4월 본격적인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2007년 설계수명 30년이 만료됐지만, 10년 동안 수명 연장이 결정돼 전력을 생산해오다 2015년 6월 영구정지가 결정됐다.
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