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영남

유니스트 연구팀, 파킨슨병 치료 새 단서 찾았다

등록 2020-11-12 11:59수정 2020-11-12 13:06

김재익 교수(앞줄 가운데) 연구팀. 유니스트 제공
김재익 교수(앞줄 가운데) 연구팀. 유니스트 제공
‘나비처럼 날던’ 전설의 프로 복서 무하마드 알리도 피하지 못했던 ‘파킨슨병’. 국내 연구진이 근육이 마비되거나 경련으로 몸의 움직임이 둔화하는 이 퇴행성 뇌 질환을 치료할 새로운 단서를 찾아냈다.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은 12일 생명과학과 김재익 교수팀이 뇌 속 도파민 신경세포에서 세포 내 단백질 변형과정의 하나인 오글루넥당화 활성화를 통해 파킨슨병의 운동이상증을 정상 수준에 가깝게 완화할 수 있음을 동물실험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유니스트는 “오글루넥당화가 도파민 신경세포의 기능과 사멸에 관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동물 모델에 적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신경학·중개신경과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브레인> 11월9일치에 공개됐다.

파킨슨병에 걸리면 뇌 속 도파민 신경세포가 죽어 근육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분비가 줄어든다. 현재 파킨슨병 치료는 도파민을 보충해 운동이상증을 치료하는 대증요법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김 교수 연구팀은 도파민 신경세포 조기사멸의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돼온 단백질의 과도한 인산화를 오글루넥당화 활성화를 통해 억제할 수 있음을 밝혀내,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그동안 오글루넥당화가 신경세포와 신경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됐는데, 뇌 안의 다양한 신경세포 중 도파민 신경세포에 작용하는 오글루넥당화의 새로운 역할을 밝혀냈다. 최근 난치 퇴행성 뇌 질환인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의 신경세포 조기 사멸 원인으로 단백질 과인산화가 지목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오글루넥당화로 과인산화를 억제해 근본적인 퇴행성 뇌 질환 치료 가능성을 보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화염 속 52명 구한 베테랑 소방관…참사 막은 한마디 “창문 다 깨” 1.

화염 속 52명 구한 베테랑 소방관…참사 막은 한마디 “창문 다 깨”

외국인 마을버스 운전기사 나오나…서울시, 인력 부족에 채용 추진 2.

외국인 마을버스 운전기사 나오나…서울시, 인력 부족에 채용 추진

515m 여주 남한강 ‘출렁다리’ 내년 5월 개통 3.

515m 여주 남한강 ‘출렁다리’ 내년 5월 개통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4.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아버지 무덤에 “증거물 묻어뒀다”는 명태균…검찰은 “화장했다” 5.

아버지 무덤에 “증거물 묻어뒀다”는 명태균…검찰은 “화장했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