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경북 안동시장(왼쪽)과 김호석 안동시의회 의장이 6일 오전 안동시청 웅부관 청백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안동 임하댐 물을 대구에 공급할 수 없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안동시 제공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이나 안동 임하댐 물을 대구에 공급하는 방안이 담긴 환경부 연구용역 결과에 안동시가 “안동의 물 식민지화”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권영세 안동시장과 김호석 안동시의회 의장은 6일 오전 10시30분 안동시청 웅부관 청백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환경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1976년 안동댐, 1993년 임하댐 건설로 4만여명의 수몰민이 고향을 등지고 흘린 눈물은 부산, 대구, 경북 포항과 구미 등 산업단지 부흥의 밑거름이 됐다”며 “안동은 지난 50년 동안 영남 하류 지역에 맑은 물을 공급한다는 구실 아래 갖은 규제를 감당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안동댐 인근 231.2㎢의 면적이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돼 43년간 쓸모없는 땅이 됐고, 생태계 변화로 농사에 막대한 피해도 입었다”며 “환경부는 안동시민의 무고한 희생을 강요하는 임하댐 취수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우리는 임하댐 추가 취수 계획을 강력히 반대하며 전면 백지화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 5일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 중간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낙동강 상류 지역에 안전한 물을 다변화하는 대안으로 ①대구 낙동강 모래톱 강변여과수 이용+대구 문산·매곡취수장 초고도정수처리 ②구미 해평취수장 취수+문산·매곡취수장 초고도정수처리 ③안동 임하댐 취수+문산·매곡취수장 초고도정수처리 등 세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낙동강 구미국가산업단지 상류에 있는 구미 해평취수장이나 안동 임하댐에서 하루 30만t의 물을 취수해 대구 등에 공급하겠다는 뜻이다.
현재 대구에 공급되는 생활용수의 66%는 낙동강의 문산·매곡취수장에서 나온다. 그런데 이 취수장은 구미국가산업단지 하류에 있어 수질에 대한 대구시민들의 불안감이 끊이질 않았다. 이에 환경부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로 지난 2018년 12월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을 추진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3월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을 시작해 지난 5일 중간보고서를 내놨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