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의성군청 앞 도로에 대구 군 공항과 민간 공항의 의성 이전에 찬성하는 펼침막이 걸려 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대구 군 공항과 민간 공항을 경북 의성이나 군위로 옮기기 위한 주민투표가 추진되면서 그동안 잠잠했던 지역에서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의성에서는 공항 이전에 반대하는 단체가 20개나 등장해 주민투표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대표단체를 맡으려고 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25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전날 공항 이전에 반대하는 20개 단체가 서로 자신들을 대표단체로 지정해달라며 의성군선거관리위원회에 신청서를 냈다. 반면 이전에 찬성하는 단체는 통합신공항의성군유치위원회(대표자 신시호)만 신청서를 제출했다. 공항 이전 반대 대표단체 신청을 한 단체는 대구군공항의성이전반대대책위원회, 의성군농민회, 의성군양파생산자연합회, 의성군쌀전업농연합회, 한국농업경영인의성군연합회 등이다.
다음달 21일 의성과 군위에서는 공항 이전부지 선정을 위한 주민투표가 예정돼 있다. 공항 이전후보지는 군위 우보면(단독)과 의성 비안면·군위 소보면(공동) 2곳이다. 의성군과 군위군은 지난 23일 주민투표를 발의했다. 주민투표관리규칙에는 선관위가 주민투표 찬반 대표단체를 하나씩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만일 여러 단체가 대표단체 신청을 하면 협의나 추첨을 통해 대표단체를 지정해야 한다. 찬반 대표단체로 지정되면 투표와 개표에 참관인을 보낼 수 있고 공보에 찬반 의견을 실을 수 있다.
선관위 관계자는 “예상과 달리 의성에서 반대 대표단체 신청이 너무 많이 들어와 당황스럽다”고 했다. 신광진 대구군공항의성이전반대대책위원회 대표는 “군 공항이 의성에 오면 주민들은 평생 전투기 소음 피해에 시달려야 하기 때문에 반대운동에 나서게 됐다”고 했다.
군위에서도 공항 이전 찬성 또는 반대 단체가 나란히 선관위에 대표단체로 지정돼 활동을 시작했다. 군위 우보면에 공항 단독 이전에는 군위군통합신공항추진위원회(대표자 박한대)가 찬성 대표단체, 우보공항반대대책위원회(대표자 이정식)가 반대 대표단체로 지정됐다.
군 공항과 민간 공항이 함께 있는 대구 동구지역은 전투기 소음 피해가 크다. 대구시는 2014년 5월 국방부에 군 공항 이전건의서를 제출하는 등 군 공항 이전을 추진했지만 지진부진했다. 그런데 영남권 신공항이 백지화된 직후인 2016년 7월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갑자기 대구 군 공항과 민간 공항 이전을 지시해 급물살을 탔다. 이후 국방부는 의성과 군위를 공항 예비이전후보지(2017년 2월)와 이전후보지(지난해 3월)로 잇따라 선정했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소멸 위험 1, 2위를 다투는 의성군과 군위군은 공항 유치전에 사활을 걸고 있다. 김영만 군위군수는 공항 유치를 적극 추진하다가 주민 반발로 2017년 9월 주민소환을 당할 뻔했다. 공항 이전부지는 주민투표에서 투표 참여율과 찬성률이 높은 곳으로 결정된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