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신항만 북항의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사업 위치도. 울산시 제공
10년째 난항을 겪어온 울산 신항만 북항사업이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사업의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로 활기를 되찾게 됐다.
울산시는 지난해 하반기 민선 7기 출범 이후 추진해온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북항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통과했다고 29일 밝혔다. 예타를 통과한 사업은 울산신항만 북항 터 30만2000㎡ 중 먼저 22만㎡에 264만 배럴의 액화천연가스(LNG)와 석유제품 저장 탱크를 조성하는 1단계 사업이다. 이 사업은 6160억원을 들여 올해부터 2024년까지 진행된다.
1997년부터 기획된 울산신항만 북항은 애초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으로 추진돼 이미 2010년 예타를 통과했지만 국제유가 하락과 동북아 정세 변화 등으로 대규모 국외 투자사들이 투자결정을 철회하면서 그동안 난항을 겪어왔다. 이후 지난해 민선 7기 출범 이후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사업으로 확장해 변경하고, 올해 초 에스케이가스가 액화천연가스 사업 투자를 결정하면서 지난 7월 가스 부문을 추가해 예타 조사를 다시 했다.
조사 결과 경제성(B/C) 0.93, 수익성(PI) 0.98, 종합평가(AHP) 0.537로, 사업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통상 종합평가가 0.5 이상이면 사업 타당성이 인정된다.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생산유발 전국 1조4052억원, 울산 8382억원, 부가가치유발 전국 5508억원, 울산 3557억원, 고용유발 전국 9685명, 울산 7277명으로 분석됐다.
북항 사업은 앞으로 총 3단계로 추진된다. 예타를 통과한 1단계 사업과 함께 내년부터 2025년까지 2단계로 나머지 북항 터 8만2000㎡에 586먼 배럴의 가스·석유제품 저장시설을 추가하고, 3단계로 북항 배후부지 8만㎡에 406만 배럴의 가스 저장시설을 확장할 계획이다. 최종 3단계까지 사업이 마무리되면 울산의 총 고용유발 효과는 2만여명으로, 지역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울산시는 예상했다
울산시 오일가스허브 담당자는 “액화천연가스 사업이 추가됨에 따라 석유 중심의 오일 허브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양해지고, 다양한 수요처로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해져 전체 사업의 경제성이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