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10여개 시민사회단체와 노동·민중·정의당 울산시당,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지난 2일 건설노조 간부 2명이 고공농성 중인 울산 북구 매곡동 대성레미콘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레미콘 사태의 추석 전 타결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 제공
운송비 인상을 놓고 두 달 넘게 끌어온 울산 레미콘 업계의 노사 마찰사태가 노사 합의로 일단락됐다.
건설노조 울산건설기계지부와 레미콘지회는 5일 ‘고공농성을 정리하며’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고 “전날 16개 제조사가 운송비 5000원 인상을 수용함에 따라 아침에 확인서와 계약서를 작성하고 업무에 복귀했다. 한라엔컴 울산공장과 대성레미콘 앞 고공농성도 각각 오후 5시와 7시에 승리보고대회를 열고 해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한동안 레미콘 공급이 중단돼 차질을 빚던 농수산물도매시장 소매동 재건과 동천제방 겸용도로 개설, 신축학교 7곳 등의 공사가 정상화될 것으로 보인다.
울산건설기계지부와 레미콘지회는 성명서에서 “오늘의 결과는 레미콘 조합원 408명의 일치단결과 건설노조 울산건설기계지부 조합원들의 투쟁과 인내의 결과다. 건설노조의 명운을 걸고 전국적으로 총력 지원하고, 민주노총 울산본부 산하 단위노조와 진보정당, 시민사회단체들이 지지연대한 힘이 컸다”고 평가했다. 이어 “5000원 인상이란 생존권 투쟁이 종국에는 260만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노조할 권리, 노동기본권문제로 귀결됐다. 문재인 정부와 국회의 반성과 해결을 촉구한다”고도 했다.
울산지역 레미콘 사태는 노조가 생활임금 확보를 이유로 레미콘 1회 운송비를 4만5000원에서 5만원으로 5000원 인상할 것을 요구했으나 제조사업자 쪽이 건설경기와 경영 악화 등을 이유로 거부하면서 비롯됐다. 이에 노조는 7월1일부터 파업에 나섰고, 사업자 쪽은 계약 만료를 이유로 조합원 408명을 무더기 계약해지 통보하고 집단 휴업에 들어갔다.
이후 중요 공사 차질에 따른 우려와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르자 8월26일 16개 레미콘 제조업체 중 2곳이 운송료 5000원 인상에 합의했다. 나머지 14개 업체는 전혀 변화를 보이지 않자 8월28일부터 9일째 울산 북구 대성레미콘 앞 10여m 높이 철재구조물과 남구 한라엔컴 30m 높이 사일로 등 2곳에서 장현수 울산건설기계지부장과 최영빈 레미콘지회장 등 4명이 고공농성을 벌여왔다.
이같이 장기화하며 악화하던 사태는 지난 4일 나머지 14개 업체도 올해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2년 계약기간으로 운송비 5000원 인상을 받아들임으로써 극적으로 타결을 보게 됐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