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전 10시 부산 동구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부울경초광역경제동맹 출범식이 끝난 뒤 이정현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왼쪽부터), 박형준 부산시장,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지사가 기념사진을 찍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와 경남도가 두 지역의 행정통합 방향과 후속절차 결정에 참고하기 위해 벌인 공동 여론조사에서 부정적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대상자의 70%가 행정통합 논의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다수 전문가가 예상한 것처럼 부산·경남 행정통합이 쉽지 않음을 예고했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12일 오후 1시 부산 동구 초량동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경남 행정통합 여론조사를 벌였더니, 반대 의견이 찬성 의견보다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공동 여론조사는 두차례 이뤄졌다. 1차는 지난 5월29일~지난달 1일 만 18살 이상 부산시민 1003명과 경남도민 1008명, 2차는 지난달 5~8일 부산시민 1000명과 경남도민 1014명을 대상으로 했다. 모두 4025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 70%와 유선전화 30% 비율로 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5%포인트, 응답률은 14.7%였다.
설문 결과 부산·경남 행정통합에 대해 응답자 4025명의 35.6%는 찬성, 45.6%는 반대, 18.8%는 잘 모른다고 대답했다. 찬성비율은 부산(37.7%)이 경남(33.4%)에 견줘 4.3%포인트 높았다. 거꾸로 반대비율은 경남(48.5%)이 부산(42.8%)에 견줘 5.7%포인트 높았다. 두 광역단체 행정통합을 부산시민보다 경남도민이 더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찬성하는 이유를 물었더니 ‘수도권 집중에 대응해 국가균형발전을 이뤄야 한다’는 대답이 부산 응답자 755명의 58.8%, 경남 응답자 679명의 53.8%였다.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반대하는 이유를 물었더니 ‘통합의 필요성이나 당위성이 적다’가 부산 응답자 862명의 58.4%, 경남 응답자 979명의 43.6%였다. 이어 ‘실현 가능성이 작다’가 부산 21.7%, 경남 23.2%였다.
부산·경남 행정통합이 되면 ‘부산·창원 등 대도시권으로 집중화를 우려한다’는 응답이 부산 9.2%, 경남 22.5%였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추진 적정 시점에 대해선 응답자 1434명의 47.9%가 ‘2026년 지방선거 이전’, 43.5%가 ‘2026년 지방선거 이후’라고 답했다.
12일 오전 10시 부산 동구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부울경초광역경제동맹 출범 기념식이 끝나고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부산시 제공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반대하는 여론이 더 많았지만 일반화를 하기엔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논의 여부를 아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4025명의 69.4%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대답한 데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찬성과 반대 어느 쪽도 응답자의 절반을 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산시와 경남도도 여론조사 결과에 대한 입장 발표문에서 “행정통합 인지 비율이 매우 낮아 시·도민의 객관적 의사를 확인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고 시인했다. 또 2025년까지 시·도지사 교차 근무(1일 명예 시·도지사), 각종 행사 때 시·도 자원봉사단 운영 지원, 부산·경남 현안 협력회의 신설·운영, 내년 하반기 행정통합 민관 추진위원회 구성, 행정통합 여론조사 등의 추진일정을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행정통합은 가장 높은 수준의 협력이어서 거쳐야 할 난관도 현실이다. 오늘 여론조사 결과는 주민 이해도와 관심도, 참여도를 높여야 하는 과제를 남겼다”고 말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부산·경남 행정통합은 내가 제안했고 박 시장이 흔쾌히 동의해 1년 가까이 노력했다. 700만 시·도민이 장·단점을 판단하는데 부족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