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1일 채영희 10월항쟁유족회장이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가창골에 마련된 ‘10월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에서 열린 10월항쟁 76주기 합동위령제에서 분향하고 있다. 김규현 기자
한국전쟁 전후 대구지역 민간인 학살 사건이 발생한 ‘가창골’에서 정부 차원의 유해 발굴이 처음 진행된다.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대구·경북지역 형무소 재소자 희생 사건’ 관련해 24일 오후 2시께 10월 항쟁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에서 열고, 대구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산 89-6번지(면적 150㎡)에서 유해발굴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유해발굴 지역은 1950년대 가창댐 공사를 하다가 발굴된 유해를 옮겨 이장한 곳이며, 유해 30여구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발굴은 (재)선사문화연구원이 맡고, 다음달까지 발굴을 완료할 계획이다.
2010년 1기 진실화해위원회가 발표한 ‘대구·경북지역 형무소 재소자 희생 사건’ 조사 보고서를 보면, 1950년 7월 초중순 사이 대구형무소에 수감 중이던 보도연맹원와 예비검속자 1400여명이 대구(경북)지구 방첩대(CIC), 3사단 22연대 소속 헌병대, 경찰 등에 의해 적법한 절차 없이 경북 경산코발트광산·가창 골짜기·칠곡 신동재·본리동 등지에서 살해됐다.
당시 대구에는 고등법원이 있어 안동·김천형무소보다 상대적으로 형량이 높은 재소자들이 대구형무소에 있었다. 특히 제주 4·3사건, 여순사건 장기수, 대구 10월항쟁 관련자들이 많았다. 대구형무소에는 전체 재소자 3889명 가운데 2684명(69%)이 좌익수(내란·도주·국가보안법 위반 등)였다.
김규현 기자
gyuhy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