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소비자연맹, 부산개인택시조합 등 부산 시민단체들이 지난해 9월 부산시청 들머리에서 지역화폐 ‘동백전’ 계속 운영을 촉구하고 있다. 김광수 기자
부산시가 골목상권 활성화와 지역에서 소비된 자금의 수도권 유출을 막으려고 운영하는 지역화폐 ‘동백전’ 캐시백(이용자에게 되돌려주는 금액) 지급방식이 3년 6개월 만에 변경된다. 연간 매출액 10억원 미만 업체를 이용하면 많게는 17~19%가량 깎아준다.
부산시는 8일 “다음달 중순부터 동백전 캐시백 요율을 가맹점 연간 매출액에 따라 차등해서 적용한다”고 밝혔다. 2019년 12월 처음 출시된 동백전은 부산시비와 국비 확보액에 따라 5~10% 캐시백을 월 사용한도액(30만~100만원)까지 일률적으로 지급했다.
새로 도입하는 캐시백 지급방식은 가맹점 차등 지급방식이다. 현재는 월 30만원까지 부산시비로 캐시백 5%를 일률적으로 지급하지만 다음달 중순부터는 월 30만원까지 이용금액의 3~10%를 깎아주고, 깎아준 금액의 7%(부산시비 캐시백 5%+국비 캐시백 2%)를 돌려준다. 부산시가 캐시백 지급에 동참하는 업체를 늘리기 위해 지난 3일부터 모집에 나선 가맹업체를 이용하면 다음달 중순부터 석달 동안 2% 캐시백을 더 지급한다.
다만 국·시비 캐시백은 가맹점 매출액에 따라 차등 지원한다. 연간 매출액 30억원 이상인 업체는 동백전 결제가 가능하지만 국·시비 캐시백이 한 푼도 지급되지 않는다. 이 구간에 해당하는 업체를 업종별로 보면, 주유소(31.3%), 중형할인점(21%), 병원(16.1%), 음식점(7.2%) 등이다. 연간 매출액 10억~30억원인 가맹점은 부산시비 캐시백 5%만 지급하고 국비 캐시백 2%는 지급하지 않는다. 연간 매출액 10억원 미만인 업체는 부산시비 캐시백 5%에 국비 캐시백 2%를 더해 7%를 지급한다. 지난해 전체 동백전 결제액 가운데 연간 매출액 30억원 이상인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2.4%, 10억~30억원은 16.4%, 10억원 미만은 61.2%였다.
동백전 사용액 추이. 지난해 7월 이후 내림세로 돌아섰다. 지난 2월 1319억, 3월 1339억원이었다. 부산시 제공
다음달 중순부터 동백전 혜택이 많이 늘어나지만 불편함이 따른다. 무엇보다 이용자들은 동백전 앱에 접속해서 큐아르(QR)코드로 결제해야 하고, 이용하려는 가맹업체의 연간 매출액 구간이 어디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또 연간 매출액 30억원 이상인 업체엔 캐시백이 지급되지 않아 이용자들의 선택권이 좁아졌다. 업체들이 얼마나 참여할 것인지도 변수다. 업체 입장에선 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결제금액의 3~10%를 깎아주는 것인데 이용객이 늘지 않으면 출혈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어서 가맹점 가입을 망설일 수가 있다. 가맹점 가입이 저조하면 이용자들의 선택권이 줄어드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부산시가 차등적인 캐시백 정책을 도입하는 이유는 캐시백 지원금이 지난해 2217억원(국비 591억원, 시비 1626억원)에서 올해 1030억원(국비 230억원, 시비 800억원)으로 쪼그라들면서 이용자 수와 사용금액이 계속 감소하기 때문이다.
실제 동백전 이용자 수와 사용금액은 지난해 8월부터 월 사용한도는 50만원에서 30만원, 캐시백 요율은 10%에서 5%로 낮아지면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사용자 수는 지난해 7월 80만명을 돌파한 뒤 내림세로 돌아서 지난 2·3월 각각 64만명과 65만명을 기록했다. 사용금액은 지난해 7월 사상 최고인 2884억원을 찍은 뒤 감소세로 전환해 2·3월 각각 1319억원과 1339억원을 기록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