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유족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자신들에게 막말을 퍼부은 김미나 창원시의원을 15일 고소했다. 최상원 기자
“자식을 팔아서 장사한다니요?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런 말을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 말을 듣고 밤새 잠을 잘 수 없었습니다. 김미나 창원시의원 자신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가 아닌가요? 그 사람은 사람이 아닙니다. 그냥 둘 수 없습니다. 창원시민들이 징벌을 내려주십시오.”
이태원 참사로 목숨을 잃은 고 노류영(28)씨의 어머니 정미진씨는 떨리는 목소리로 호소했다. 고 이경훈(28)씨의 아버지 이진우씨도 “김미나 의원은 인간이기를 포기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도저히 인간으로 취급할 수 없다”며 분노를 삭이지 못했다. 고 정아량(31)씨의 어머니 남지민씨는 “김미나 의원이 사과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봤는데, 전혀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았다. 진정한 사과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태원 참사 유족들은 15일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자신들에게 막말을 퍼부은 김미나(58·국민의힘·비례) 창원시의원에 대해 명예훼손·모욕 등 혐의로 경남 창원중부경찰서에 고소했다. 이들은 고소장에서 “국가적 비극인 이태원 참사의 유가족을 향해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천륜에 벗어난 잔인한 표현을 사용해 공연히 모욕한 점, 정보통신망을 통해 비방할 목적으로 공공연하게 허위 사실을 드러내어 유가족의 명예를 훼손한 점 등이 인정된다. 엄히 처벌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고소장에는 유가족 238명이 이름을 올렸다.
고소장 제출에 앞서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소속 유가족 5명은 창원시의회를 방문해, 김미나 창원시의원의 시의원직 박탈을 요구하는 항의서한을 문순규(더불어민주당) 창원시의회 부의장에게 전달했다. 유가족들은 김미나 시의원 사무실도 찾아갔으나, 김 의원이 이날 출근하지 않아 만나지 못했다.
창원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단은 이태원 참사 유족에게 막말을 퍼부은 국민의힘 소속 김미나 창원시의원을 창원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하기로 결정했다. 최상원 기자
민주당 소속 창원시의원들은 김미나 의원을 창원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하기로 결정하고, 16일 김이근(국민의힘) 창원시의회 의장에게 김 의원에 대한 징계요구서를 내기로 했다. 지방의원에 대한 징계는 공개회의에서 경고, 공개회의에서 사과, 30일 이내 출석정지, 제명 등이 있다. 경고·사과·출석정지 등은 본회의에서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에 출석의원 과반수 찬성이 필요하고, 제명은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 창원시의회 의원 45명은 국민의힘 27명(60%)과 민주당 18명(40%)으로 이뤄져 있다.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이 동의하지 않으면 김 의원에 대한 징계는 불가능하다.
백승규 시의회 민주당 원내대표는 “김미나 의원은 ‘창원시 윤리강령 및 행동강령’을 위반했다. 시의회는 ‘창원시의원 일동’ 명의로 시의회 누리집 첫 화면에 사과문을 내걸었다. 이 사과문이 진정한 사과가 맞는다면, 시의원 그 누구도 김미나 의원의 윤리특위 회부와 징계에 반대하지 않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