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사회단체 원로들이 16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리2호기 수명연장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영동 기자
부산의 시민사회단체 원로들이 고리2호기 수명연장과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에 반대하며, 박형준 부산시장에게 행동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부산 시민사회단체·학계·종교계 원로들은 16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리2호기 수명연장과 고리핵발전소 안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가 진행되고 있다. 박 시장은 노후 핵발전소와 핵폐기장으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원로들은 “부산시 원자력안전 조례(2020년 제정)에도 핵발전소 설계수명 연장은 금지돼 있고, 이를 정부에 건의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명시됐다. 안전대책 마련과 주민 의견 수렴이 기본 전제다. 박 시장은 고리2호기 수명연장과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 추진에 대해 반대하는 시민 의견을 대변하지 않고 있다. 직무유기와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원로들은 또 “폐쇄된 고리1호기 해체를 앞두고 고리2호기 수명연장과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고려하면 결코 좌시할 수 없는 일이다. 박 시장은 앞으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시민 앞에 소상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어 “4·19, 부마민주항쟁, 6월항쟁 등에 거리로 나섰던 우리는, 이제 고리2호기 수명연장을 저지하고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를 막아내는 것으로 행동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구자상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 공동대표는 “내년 4월 폐쇄 예정인 고리2호기의 수명연장은 반국민적·반생태적이다.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도 없고 안전하지도 않은 핵발전소의 수명을 늘리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폭거다. 선거로 뽑힌 시장, 지자체장, 시의원, 구의원은 시민, 국민의 안전이 가장 우선인 점을 잘 인지하고 핵발전소 수명연장 문제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원자력안전기술원에 고리2호기 수명연장 서류를 제출했다. 고리2호기 수명연장 서류는 적합성 검토를 통과해 정식 심사에 들어갔다. 또 한수원은 지난 9월 고리핵발전소 가동 과정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를 ‘고준위 방사선 핵폐기물 영구처분장’ 설립 전까지 한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2030년까지 고리핵발전소 터 안에 건식 저장시설을 짓겠다는 사업 일정 수립에 나섰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