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과 경남환경운동연합은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탈원전 정책 폐기와 원전산업 활성화를 추진하는 정부와 지방선거 당선자들을 비판했다. 최상원 기자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추진하는 등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산업 활성화를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와 박완수 경남도지사 당선자, 홍남표 창원시장 당선자에 대해 경남 시민사회단체가 “다른 나라는 앞으로 달리고 있는데, 대한민국만 뒷걸음질 칠 준비를 하고 있다”며 싸잡아 비판했다.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과 경남환경운동연합은 2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원전과 재생에너지는 나란히 갈 수 없는 발전원이다. 사고위험을 높이는 원전 확대를 중단하고, 고준위핵폐기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방향 공청회를 연다. 그런데 새 정부는 원전을 확대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낮추는 쪽으로 방향을 제시했다. 앞 정권의 에너지 정책을 손바닥 뒤집듯 뒤집어 놓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기본계획 수립은 속절없이 시간만 흘려보내고 있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 폐기를 철회하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40%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원전산업 육성을 공약한 박완수 경남도지사 당선자에 대해 “기후위기 대응이 곧 경제대응이다. 하청 제조업체에까지 재생에너지에 의한 생산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도지사의 떨어지는 기후 인식은 경남 경제를 파국으로 치닫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최근 ‘원전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업 간담회’를 개최한 홍남표 창원시장 당선자에 대해서도 “경제를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원전산업은 이제 끝났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세계적 흐름이다. 이제는 재생에너지 개발에 힘을 쏟고, 지방정부도 여기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종권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대표는 “원자력안전법 등에 따라 중대사고영향평가·주민동의 등 절차를 밟아서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추진하려면 최소 5년 이상 시간이 걸린다. 그런데 지금 거론되는 것은 이런 법과 절차를 무시하고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원전 관련 기업들 눈치를 살피기 때문이다. 만약 정부가 부당하게 추진한다면 시민사회단체는 소송을 해서라도 이를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6·1 지방선거 당시 박완수 경남도지사 당시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에 두산중공업 등 경남의 원전 관련 업체들이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무너진 원전생태계를 회복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홍남표 창원시장 당선자의 인수위는 지난 16일 국내 대표적 원전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에서 ‘원전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업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홍 당선자는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하더라도 기업에 바로 파급효과가 오지 않는다. 그때까지 우리 원전기업들이 버틸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원자력 특별보좌관’ 임명 계획을 밝혔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