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24일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해 양적인 거주 인구보다 경북 지역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이른바 ‘생활인구’를 늘리는 방안을 내놓았다.
경북도는 24일 “경북의 인구 변화와 지역소멸 위기 실태를 분석해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자 국토연구원에 의뢰한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6대 추진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가 10월 전국 인구감소지역 89곳을 발표했는데, 경북 지역은 16개 시·군이 포함돼 전남과 함께 가장 많았다. 경북 인구는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분리됐을 때 319만명에서 2020년 기준 264만명으로 55만명 줄었다. 경북 12개 시·군은 2000년 이전에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를 겪었다.
연구용역 결과를 보면, 경북도는 거주하는 인구를 기준으로 양적인 숫자를 늘리는 정책보다는 ‘생활인구’를 늘리기로 했다. 경북도는 “재택근무 확산과 ‘4도3촌’(4일은 도시에서 3일은 시골에서 생활한다는 뜻의 줄임말) 생활 등의 생활환경 변화에 따라 지역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인구를 확보하는 시범 사업을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도는 농산어촌 유학 프로그램, 1시군 1특화 살아보기 프로그램, 워케이션(일과 휴가의 합성어) 기반 조성, 지역특산물 꾸러미 구독 경제 사업 등을 추진한다. 이밖에도 청년·중장년·외국인 등 세대 맞춤형 정착 지원, 고령화 마을주치의 사업, 도·농 교류 확대 등 사업도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다양한 대응 정책들이 현장에 반영돼 사람이 모이고 활력 넘치는 지역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규현 기자
gyuhy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