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발전소 연료를 석탄에서 액화천연가스로 바꾸면 탄소 배출량을 45%가량 줄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가스발전을 석탄발전의 대안으로 삼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남탄소중립추진위원회,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기후솔루션, 에너지전환포럼 등이 낸 자료를 보면, “경남의 화력발전소 10곳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석탄에서 액화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를 석탄발전의 대안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15일 오후 3시에 경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리는 워크숍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의로운 전환’에서 주제발표자로 나설 남종석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경남도는 탄소의 실질적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2050년까지 실현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 30%, 2040년 40%, 2050년 55%로 높이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경남형 에너지 전환정책을 지난해 2월부터 추진하고 있다”며 “그러나 경남에 공급되는 에너지원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3%에 불과하고, 석탄이 64.07%로 압도적”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경남의 화력발전소 14곳 가운데 폐기하는 곳은 2곳뿐이고, 10곳은 석탄에서 액화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남 위원은 이 점을 지적하며 “폐기되는 2곳을 제외한 화력발전소 12곳 모두 연료를 천연가스로 바꾸더라도 탄소 배출량은 45% 정도 줄어들 뿐이어서 대안으로 삼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정의로운 전환’과 이를 위한 ‘정부 역량’이 중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의로운 전환’이란 탄소중립 사회로 가는 과정에서 피해를 볼 수 있는 지역이나 산업 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해 발생하는 부담을 사회적으로 분담하고 취약계층 피해를 최소화하는 정책을 가리킨다. 워크숍의 또 다른 주제발표자인 이정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은 “에너지 전환 정책은 산업과 고용 측면의 보상에 그치지 않고, 미래 전망적이고 능동적으로 기획해야 한다”며 “다양한 행위자와 이해관계자들을 조정할 정부 역량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한겨레 영남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