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제주

제주 ‘용천수’가 사라진다

등록 2020-11-27 13:04수정 2020-11-27 13:18

물이 솟아나는 용천수 20년 새 100여곳 줄어
“향토유산 지정·보전 방안 통해 활용성 높이기로”
제주시 한림읍 귀덕리의 한 용천수. 허호준 기자.
제주시 한림읍 귀덕리의 한 용천수. 허호준 기자.

과거 제주인들의 일상생활 무대였던 ’용천수’가 사라지고 있다. 용천수는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암석이나 지층의 틈새를 통해 지표로 솟아나는 물이다. 제주도 내에는 중산간이나 해변 지역 등 곳곳에 용천수가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돼왔다. 그러나 상수도의 개발 등으로 점차 사라지고 있다.

27일 제주도가 제주연구원에 의뢰해 나온 ‘용천수 전수조사 및 가치보전·활용방안 마련’ 최종 용역 보고서를 보면, 지금도 물이 솟아나는 제주도 내 용천수는 한라산 국립공원 내 24곳을 포함해 모두 656곳으로 나타났다. 물이 솟아나는 용천수는 1998~1999년 조사에서는 755곳, 2010년 753곳에 이어 2013~2014년엔 661곳으로 계속 줄어들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그동안 조사자료에 포함되지 않았던 17곳이 새로 확인된 반면 매립이나 멸실 등이 된 곳은 22곳으로 나타났다.

용역팀이 용천수 564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8.3%인 316곳이 방치되고 있으며, 24.2%인 185곳은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곳은 142곳, 활용되지 않는 곳은 494곳으로 나타났다.

또 용천수 수질검사 결과 질산성 질소가 대부분 먹는 물 수질 기준(10㎎/ℓ) 이하로 조사됐다. 중산간 지역은 평균 1.6㎎/ℓ, 하류 지역은 평균 5.6㎎/ℓ, 해안을 낀 수변공간은 8.6㎎/ℓ 등으로 적합했지만, 기준을 넘어서는 용천수도 상당수 확인됐다.

용역팀은 용천수의 가치 발굴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구술채록과 역사와 연계한 스토리 텔링 발굴, 용천수의 향토유산 지정 등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도는 용천수가 문화적 가치가 있고, 과거 제주도민의 일상생활과 직결된 생활 유산이라는 점을 고려해 향토유산으로 지정해 보전·관리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외국인 마을버스 운전기사 나오나…서울시, 인력 부족에 채용 추진 1.

외국인 마을버스 운전기사 나오나…서울시, 인력 부족에 채용 추진

화염 속 52명 구한 베테랑 소방관…참사 막은 한마디 “창문 다 깨” 2.

화염 속 52명 구한 베테랑 소방관…참사 막은 한마디 “창문 다 깨”

515m 여주 남한강 ‘출렁다리’ 내년 5월 개통 3.

515m 여주 남한강 ‘출렁다리’ 내년 5월 개통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4.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15년 만에 신생아 울음…170여명 마을 들썩 5.

15년 만에 신생아 울음…170여명 마을 들썩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