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육지와 바다의 완충지대인 해안사구가 막개발 등으로 기능이 상실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환경부가 확인한 제주지역 해안사구보다 더 많은 사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2일 제주지역 해안사구 보전운동 차원에서 올해 2월부터 진행한 해안사구 모니터링 결과 환경부가 5년마다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도내 해안사구 14곳보다 많은 20곳의 해안사구를 확인했다며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안사구는 바다에서 강풍이 불어올 때 모래가 육지로 유입돼 식물과 같은 장애물에 걸려 쌓여 있는 모래언덕으로 생태계의 완충지대 역할을 하며 동식물의 번식장소로도 활용된다.
이번 중간조사 결과 제주 서부지역의 경우 환경부는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 사구와 사계 사구를 조사 지점으로 하고 있지만 사계리 황우치 해변과 설쿰바다 해안사구도 큰 규모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 구좌읍 세화 사구. 제주환경운동연합 제공
또 동부지역의 경우도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 단디모살 사구와 세화리 해녀박물관 주변 사구, 우도 하고수동 배후의 해안사구도 환경부의 조사 대상에서 빠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 단체는 해안사구가 공유수면이나 국내 습지보전법에 의한 연안 습지도 아니어서 개발 위기에 놓여 있고, 이미 개발된 곳은 기능을 잃어버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항만 개발과 방파제 축조로 해류 흐름이 바뀌어 모래 유실이 일어나는가 하면 김녕과 곽지, 월정 해수욕장 등은 해안사구의 파괴로 해수욕장 기능상실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월정 해안사구는 지난 10여년 간 상업시설이 크게 확장돼 해안사구가 단기간에 많이 파괴되면서 모래가 유실되고, 모래 속에 있던 암반이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서귀포시 안덕면 설쿰바다 사구. 제주환경운동연합 제공
이 단체는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 32곳, 문화재청 지정 4곳, 해양수산부 지정 2곳 등 모두 38곳이지만, 제주도내 해안사구는 한 곳도 지정되지 않았다. 신양리 해안사구나 사계 해안사구는 문화재나 보호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가치가 있는 사구들이다”라고 말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말까지 해안사구 조사를 진행한 뒤 실태조사와 보존 방안에 대한 토론회를 열 예정이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