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해 꿀벌 폐사 논란이 이는 헬기 이용 항공방제의 약제를 교체해 28일부터 드론 방제작업에 나섰다. 제주도 제공
지난해 제주지역에서 발생했던 꿀벌의 대규모 폐사와 관련해 제주도가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 약품 성분을 바꿔 방제에 나섰다.
제주도는 28일 “이날부터 다음달 28일까지 제주도내 소나무에 피해를 주는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해 3차례에 걸쳐 정밀 드론 방제작업을 한다”고 밝혔다.
이번 드론 방제작업은 지난 2월 산림청이 환경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공방제 중지를 결정한 데 따른 대안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의 서식밀도를 줄이기 위해 이뤄진다.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에 주로 활용하던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티아클로프리드 약제에 대한 위해성 논란이 일자 헬기를 활용한 항공방제를 전면 중단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약제는 채소류와 과실류 등에 사용하는 살충제로, 그동안 꿀벌에 대한 기피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이 약제에 대한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다. 국내에서도 약제에 대한 위해성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약제 대신 플루피라디퓨론 액제를 사용해 방제에 나서기로 했다. 도는 이날부터 30일까지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일대 소나무림 64.5㏊에 대해 1차 방제작업을 하며, 다음달 10~14일은 같은 지역에서 2차 방제, 다음달 24~28일은 3차 방제가 이뤄진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이와 별도로 한림읍과 남원읍, 표선면 일대 200㏊를 대상으로 방제할 예정이다.
양제윤 도 기후환경국장은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해 도민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방제지역 인근 마을과 마을공동목장에 주의사항을 안내하는 등 재선충병 방제 관리에 만점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지역에서는 지난해 3월 양봉농가 384곳에서 사육 중인 6만군의 꿀벌 가운데 283개 농가의 2만군이 벌꿀이 폐사하거나 사라지는 피해가 나타났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