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중산간 지역에 설치된 풍력발전 시설.
제주지역에 태양광·풍력발전시설이 많이 늘어나면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도록 강제로 끄는 ‘출력제어’가 자주 발생하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계획이 대폭 수정돼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주연구원은 지난 15일 제주도의 의뢰를 받고 시행한 `제주계통 안정화 방안 및 재생에너지 적정 규모 산정'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전력계통의 접속 한계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도록 하는 출력제어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태양광·풍력발전시설 도입 목표를 단기적으로 하향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제주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지난 2009년 9%에서 태양광·풍력발전시설의 급증에 따라 2020년 16.2%로 증가했다. 현재 도내 태양광 발전시설은 510㎿, 풍력은 295㎿이다. 도는 지난 2012년 ‘탄소 없는 섬(CFI) 2030 비전’을 통해 2030년 풍력 2345㎿, 태양광 1411㎿, 연료전지 104㎿, 바이오 40㎿ 등 모두 4085㎿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세운 바 있다.
그러나 날씨 등 계절적 요인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는 신재생에너지의 공급이 수요와 맞지 않아 강제로 발전을 중단하는 출력제어 횟수가 해마다 늘고 있다. 실제로 연도별 풍력발전 출력제어 현황을 보면, 2015년 3회, 2016년 6회, 2017년 14회, 2018년 15회, 2019년 46회, 지난해 77회로 해마다 급증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달 말까지 63회에 걸쳐 출력제어 명령이 내려졌다.
제주연구원은 제주와 전남 완도를 연결하는 길이 96㎞의 제3연계선 해저케이블 건설사업이 2023년 12월 준공돼 전력의 역전송이 제한적으로 이뤄지더라도 현재 계획대로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면 출력제어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내년도 태양광 발전량을 기존 목표치인 659.9㎿에서 600㎿로 59.9㎿를 감축하고, 풍력 발전량은 975㎿에서 절반 이상 줄인 431㎿가 적정하다고 제시했다. 2023년에는 태양광 발전의 목표량을 780.3㎿에서 702.2㎿로, 풍력발전은 1015㎿에서 절반 수준인 560㎿로 각각 축소하는 것을 적정 규모로 제시했다.
연구진은 “제주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제주도의 단기 보급목표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