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호남

“중학생 윤상원 일기에서 ‘5·18 살신성인’ 바탕 찾았죠”

등록 2021-05-13 18:33수정 2021-05-14 02:33

[짬] 인문연구원 동고송 황광우 이사
황광우 인문연구원 동고송 상임이사. 정대하 기자
황광우 인문연구원 동고송 상임이사. 정대하 기자

“어느 봄날이었을까? 해파재(海波齋)를 방문한 그 날, 나는 윤상원의 일기가 있음을 처음 알았다.”

‘오월의 아들과 아버지’가 쓴 일기를 책으로 묶고 해제를 쓴 황광우(63·인문연구원 동고송 상임이사)는 지난 11일 “<윤상원 일기>(글통 냄)와 <윤석동 일기>는 ’전태일 일기’와 함께 우리 시대가 남긴 소중한 보배”라고 말했다. ‘해파재’는 광산구 임곡동 윤상원(1950~80)의 생가로, 누구나 방문할 수 있도록 문이 항상 열려있다. 황 작가는 “아무나 출입할 수 있는 공간, 유리 상자 안에 윤상원의 일기가 안치되어 있었다. 나는 몹시 놀랐다”고 했다. 그래서 “2년 전 (유족에게) 바로 연락해 일기 복사본을 만들고 원본을 한국학호남진흥원의 수장고에 보관했다”고 덧붙였다.

윤상원의 초상. 글통 제공
윤상원의 초상. 글통 제공

5·18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은 길지 않은 삶 동안 열 권의 일기를 남겼다. 1960년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일기를 쓰기 시작해 1968년까지 쓴 일기가 아홉 권에 달한다. 1977~79년 3년 동안의 삶은 한 권의 일기로 남겼다. 200자 원고로 3000장이 넘는 원본을 2000장으로 줄이는 작업이 쉽지 않았다. 황 작가는 “밤을 새워가며 일기를 읽고, 타자로 옮겼다”고 한다. “이 힘든 일을 즐거운 마음으로 할 수 있었던 것은, 윤상원의 음성을 들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독자분들도 이 희한한 체험을 누리길 바란다.”

윤상원의 사진. 글통 제공
윤상원의 사진. 글통 제공

황 작가는 윤상원의 일기를 4부로 나눠 자연학교(초등)-부활(중등)-십자가(고등)-빛고을 공동체(대학교)라는 제목으로 해제를 붙였다. 5·18항쟁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은 죽음을 각오하고 계엄군의 진압에 맞서다가 산화했다. <윤상원 일기>는 ‘5월27일 새벽, 도청의 최후를 지킨 윤상원 등 15인 전사들’의 얼굴 사진으로 첫 장을 연다. 황 작가는 “1987년 6월 대항쟁으로 우리가 전두환을 권좌에서 몰아낼 수 있었던 원동력은 광주항쟁에서 비롯되었고, 윤상원을 비롯한 15인의 숭고한 죽음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했다.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일기 10권
부친 윤석동 선생 쓴 ‘20년 일기’
각 1권씩 책 묶고 해제도 달아

“중학 시절에 깊은 ‘십자가 의식’
초등 일기는 ‘백석의 시’ 넘어서”
15일 비대면 행사로 책 헌정식

윤상원의 일기
윤상원의 일기

<윤상원 일기>엔 그의 인간적 내면이 담겨 있다. 황 작가는 “1980년 5·18항쟁을 그린 문학작품과 보고서는 많이 출간됐지만 ‘인간 윤상원’의 내면을 전하는 제대로 된 작품이 없다”는 점이 아쉬웠다. 그는 “<윤상원 일기>엔 그의 성장 과정에 대해 알고 싶어 했던 우리들의 물음에 대해 거의 완벽한 답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스랑(처마), 가마치(가물치), 독(돌), 그짓말(거짓말), ‘억크러버렸다’(엎질러 버렸다) ‘땡깡’(생떼, 억지), ‘삼삼하건만’(생생하건만) 등 일기에 나오는 전라도 입말은 그대로 살렸다.

&lt;윤상원 일기&gt; 표지. 글통 제공
<윤상원 일기> 표지. 글통 제공

초등학교 일기엔 시적 표현이 많이 등장한다. 황 작가는 “무엇보다도 감동적이었던 것은 초등 4~6학년에 쓴 일기였다. 나는 백석의 시를 좋아하지만, 윤상원의 초등 일기는 백석의 시를 넘어선다”고까지 했다. 초등 4학년 때 일기엔 ‘봄바람 불어오면서 새 버들잎 살랑살랑 손짓한다’(60.2.14), ‘나는 어째서 개가 사랑하게 여긴다’(60.1.4), ‘살구꽃은 나에게 기쁨을 준다’(60.3.29) 등의 글이 보인다. 초등 6학년 일기엔 ‘가축도 닭이라 해서 천대해서는 안 된다’(62.8.5)는 대목도 인상적이다.

&lt;윤상원 평전&gt; 출간위원회 모집 홍보물.
<윤상원 평전> 출간위원회 모집 홍보물.

윤상원의 도덕의식은 중학교 시절에 완성태로 나타난다. 일기엔 “학교에 가니 종안이가 눈을 맞으며 치우고 있는 것이다. 공부를 잘한다고 해서 사람이 아니다. 봉사하는 일이 가치 있는 일이다”는 내용이 나온다. 황 작가는 “일기를 보면서 살신성인하는 윤상원의 결단에는 기독교의 십자가 의식이 깊게 자리하고 있음을 발견했다”고 했다. 윤상원은 광주살레시오고 재학 때 성당에 나가기 시작했고, 신부한테 예수의 가르침을 배운다. ‘하나님께서 주신 나의 십자가, 꼭 지고 가리라’(68.9)

전남대를 졸업하고 1978년 2월 주택은행 봉천동지점에 취업했던 윤상원은 6개월만에 사표를 낸 뒤 광주 광천공단 노동자로 취업한다. 윤상원은 아버지에게 “부정과 불의가 판을 치는 이 나라 이 민족의 현실을 좌시할 수 없어 그만두려 하니 부모님 양해해주십시오”라는 편지를 보냈다. 그는 1978년 12월26일 들불야학 ‘동지’였던 박기순이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뜬 뒤 “불꽃처럼 살다간 누이야. 왜 말없이 눈을 감고 있는가?”(78.12.27)라고 통곡한다. 윤상원·박기순의 넋풀이곡으로 만든 <임을 위한 행진곡>은 이제 한국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노래가 됐다.

&lt;윤석동 일기&gt; 표지. 글통 제공
<윤석동 일기> 표지. 글통 제공

윤석동씨가 쓴 일기장. 정대하 기자
윤석동씨가 쓴 일기장. 정대하 기자

아버지 윤석동(1926~2019)은 1988년부터 2007년까지 20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썼다. 황 작가는 20권 분량의 원본을 한 권으로 줄였다. “아들 윤상원이 쓰러지기 전까지 부지런한 농부였”던 윤석동은 “1991년 6월 5·18 유족회의 회장이 된 뒤 5월 광주가 갖는 세계적 의미를 깨우쳐갔다.” 사단법인 인문연구원 동고송과 윤상원기념사업회는 15일 책 헌정식을 비대면 행사로 연다. 황 작가는 “2권의 일기를 사는 시민들을 출간위원으로 모시고 <윤상원 평전> 출간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010)9810-1966.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 바로가기 : “80년 5·18때 아들 잃은 5월의 아버지 “전두환, 진실을 말하라”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885346.html

‘5월 아들’ 가슴에 묻은 상처입은 아버지 일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22829.html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1.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2.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3.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4.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5.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