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서울 중구 나라키움저동빌딩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송선태 위원장이 중간 조사 결과를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숨진 민간인 55명의 주검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정부 공식 발표가 처음 나왔다. 계엄군이 팀을 짜 당시 광주에서 사체를 수습했으며, 기관총과 소총으로 시민을 조준 사격했다는 증언도 공개됐다.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가 12일 서울 중구 저동 서울사무소에서 조사 개시 1주년 기자간담회를 열어 “광주 투입 계엄군 200여명의 증언을 확보해 조사한 결과 광주봉쇄작전 중 광주교도소 일대 41명, 주남마을 일대 6명, 송암동 일대 8명 등 최소 55명의 민간인이 숨졌지만 주검의 행방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5·18 희생자의 주검이 사라졌다고 정부가 공식 인정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위는 “주남마을에서는 11공수여단이 광주~화순을 차단하며 5월23~24일 미니버스 등 최소 5대 차량에 총격을 가했다는 증언을 얻었다”며 “군 기록에는 미니버스 사망자가 17명이지만 현장에서 수습된 주검은 11구뿐이어서 나머지 6구가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또 “3공수여단이 1980년 5월21~24일 옛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며 광주~순천간 고속도로, 광주~담양간 국도 차단작전을 펼쳐 최소 13차례 민간차량에 사격을 가했다. 여러명의 장교, 사병이 교도소 옆 고속도로를 지나던 신혼부부를 태운 차량을 저격해 승객을 사살했다는 증언도 확보했다”고 했다.
송암공단 안 연탄공장 관리부장으로 근무했던 류시열(76)씨가 2019년 5월3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남구 송암동 오케이자동차학원 옆 빈터를 가리키며 민간인 학살 의혹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조사위는 계엄군이 ‘사체처리반’을 운영해 은폐한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이런 정황은 ‘현장에서 암매장, 가매장을 지시하거나 실행, 목격했다’는 제3공수여단 군인 51명의 증언과 ‘주남마을의 제11공수여단 4개 팀이 광주에 다시 내려와 사체 수습에 참여했다’는 11공수여단 군인의 증언에 기초한다”며 “사체처리반 운영 의혹을 계속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계엄군이 광주역과 광주교도소 등에서 기관총 등을 설치하고 시민을 살상했다는 진술도 확보됐다. 조사위는 “제3공수여단은 1980년 5월20일 오후 10시 이후 광주역과 5월22일 이후 광주교도소 감시탑과 건물 옥상에 M60 기관총을 설치하고, M1 소총에 조준경을 부착해 시민을 살상했다는 진술을 들었다”며 “제11공수여단은 5월21일 오후 1시경 전남도청 앞 집단발포 직후 주요 건물 옥상에 저격수를 배치해 시위대를 향해 조준사격을 했다는 진술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자위권(방어) 차원의 발포였다는 신군부의 주장과 배치된다.
조사위는 이를 근거로 5월20일 광주역에서 발생한 희생자와 5월22일 이후 광주교도소 일원 희생자가 카빈소총 사망자로 분류된 점에 의문을 제기했다. 신군부는 카빈소총 사망자 대부분이 시민군 간 오인사격에 의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5·18 당시 공수부대는 M16, 시민군은 카빈과 M1 소총을 사용했다. ‘3공수여단이 M60 기관총과 M1 소총으로 시민을 살상했다’는 진술이 나옴에 따라, 조사위는 사망 원인을 다시 규명할 계획이다.
조사위는 또 “5월24일 어린이를 사살했다는 11공수 62대대 부대원의 진술도 확보했다”며 “5·18항쟁 직후 송암동에서 매장된 채 발견돼 국립5·18묘지 무명열사 묘에 묻힌 4살 추정 어린이 주검의 신원과 가해자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사위는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신군부 핵심 37명을 상대로 6월 이후 방문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북한 특수군 침투설과 관련해서도 “5·18 관련 구속자 616명 중 단 한명도 북한과 연계됐다는 공소사실이나 판결 내용이 없다”며 향후 추가 조사를 통해 의혹을 해소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지난해 11월19일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관이 유전자 채취를 위해 4살 추정 주검이 안장된 무명열사 묘를 개장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