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집값 상승, 전세난으로 어려운 중산층 이하 무주택 가구를 위해 공공임대주택인 ‘광주형 평생주택’을 대거 공급하기로 했다.
이용섭 시장은 26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30년까지 공공임대주택 혁신모델을 제시할 ‘광주형 평생주택’ 1만8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가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투기 수요를 억누르는 한편 아파트 공급도 늘리기로 한 것이다.
시는 공공임대주택의 면적을 기존 소형 평형(60㎡ 이하)으로 하지 않고 중형(85㎡ 이하)으로 늘려 다양한 평형의 아파트를 공급할 방침이다. 이 시장은 “2018년 말 기준 106.6%로 주택 보급률이 100%를 넘어선 만큼 일반 분양보다 무주택 서민들을 위한 질 좋은 공공 임대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공공임대아파트의 선도모델로 만들어 중산층 이하 무주택 가구가 집 걱정 없이 살아갈 수 있는 광주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공급 대상은 기존 저소득층 위주에서 중산층(중위소득 150%) 이하 무주택 가구로 범위를 넓힐 방침이다. 지난 19일 국토부가 발표한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 방안’에 따라 국비 33%, 주택도시기금 33%, 사업시행자 20%를 빼면 입주자 부담은 14% 수준이다. 공공임대아파트를 건립한 뒤 입주자를 모집했던 것과 달리 예정자를 미리 모집하는 방식을 통해 ‘수요자 맞춤형 단지’로 조성하기로 했다.
시는 광주도시공사 등이 참여하는 공공임대주택 사업의 기본계획을 세울 때부터 총괄·공공건축가를 참여시킬 방침이다. 또 설계 공모를 통해 저소득층의 ‘상자형 아파트’에서 벗어나 우수한 디자인의 품격 높은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시는 내년부터 1단계 시범사업을 진행해 도심 공공소유 터에 500가구를 건립해 2024년 초 입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1단계 평생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 무주택 가구 중 미성년자녀가 있는 가구에 우선 공급할 방침이다. 광주형 평생주택은 신설 부서인 ‘주택정책과’에서 맡고 주거복지센터를 설립해 실무를 담당한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