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 중요 현안 중의 하나인 군 공항 이전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회 국방위원회에 광주지역 국회의원들이 1명도 지원하지 않고 있다. 반면, 미래통합당이 호남 유권자들과 거리를 좁히기 위해 군 공항 이전 문제를 지역 주요 현안으로 거론해 눈길을 끌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민선 7기 출범 직후인 2018년 8월 “광주 민간공항을 2021년까지 무안공항에 통합시키겠다”고 합의했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의 합의 이후 군 공항 이전 문제 해결에 실마리를 찾는 듯 했지만, 아직까지 아무런 진전이 없는 실정이다. 광주시는 일단 광주공항의 민간공항(국내선)을 약속대로 무안공항으로 이전·통합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전남도는 군 공항 이전과 관련해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가 풀리려면 무엇보다 국방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광주시 군공항이전추진본부 쪽은 “관련법에 따라 군 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를 선정할 책임이 있는 국방부가 주민 반대 여론을 이유로 주민설명회조차 열지 않고 비공식적으로만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영태 전남대 명예교수(사학과)는 “정부가 나서서 군 공항 이전 사업을 주도하지 않고 지방정부에 완전히 맡겨버려 지역간 갈등만 커질 뿐이다. 군 공항이전법특별법을 개정해 이전 군 공항 면적을 3.3㎢(100만평) 정도 줄여 이전 비용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구와 수원에서 구체화되고 있는 군 공항 이전 문제가 광주에선 풀리지 않은 상황이다. 호남에서 압도적 지지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 출신 국회의원 8명 중 단 1명도 국방위원회를 희망하지 않은 상태다. 광주군공항이전시민추진협의회 한 관계자는 “군 공항 이전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방위원회를 상임위원회로 선택한 광주 출신 의원이 단 1명도 없는 것에 실망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4월 총선 때 광주·전남에서 4% 지지를 받은 미래통합당은 호남 유권자와 다가가기 위한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2일 21대 국회 첫 의원총회에 참석해 ‘호남 공략론’을 강조하면서 호남지역의 주요 현안으로 광주에선 군공항 이전 문제를 거론해 눈길을 모은다.
한편, 광주시는 2028년까지 5조7480억원을 들여 15.3㎢(463만평) 규모의 새 군 공항을 건설하고 대신 현 광주 군 공항 터 8.2㎢(248만평)를 개발해 비용을 충당하는 방식으로 군 공항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