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 어등산 관광단지 개발사업 예정터. <한겨레> 자료 사진
광주광역시가 어등산 관광단지 개발사업에 참여할 새 사업자를 찾기 위해 단지 안 상가 면적을 2배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자 지역 중소상인들이 반대 입장을 냈다.
어등산 관광단지 주변 상인들로 꾸려진 ‘어등산 관광단지 복합쇼핑몰 입점저지 대책위원회’(대책위)는 27일 성명을 통해 “지역상권 위협하는 어등산 관광단지 복합쇼핑몰 입점을 반대한다. 광주시는 상가부지 면적 원안대로 어등산 개발계획을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대책위가 중소상인들과 아무런 사전 협의도 없이 사업계획 변경안을 발표한 광주시를 강력하게 규탄하고 나선 것이다. 시는 지난 25일 어등산 관광단지 조성사업자 공모 조건을 변경해 상가시설 면적을 두 배로 늘리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대책위는 시의 이런 입장이 “민·관이 대화와 타협으로 확정한 ‘가이드라인’을 송두리째 무시한 일방행정”이라며 규탄했다. 상가 면적 2만4170㎡를 4만8340㎡까지 늘리겠다는 시의 변경안은 대형 유통업체를 유치하겠다는 선언이나 다름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국정과제에 ‘복합쇼핑몰 규제’를 담고 있다.
대책위는 “이해당사자인 광주상공인과 광주시의회, 시민사회까지 배제한 채 가이드라인을 무력화하는 저의가 무엇인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민선 6기 때 광주시는 어등산 관광단지 조성을 위한 민관위원회를 개최해 사업계획안을 확정한 바 있다. 대책위는 “상가시설 면적을 늘리지 않고 원안대로 하고, 업종은 자율방식으로 공모하기로 결정했다. 대책위가 이 합의안을 수용하면서 시가 민간사업자 공모 계획의 가이드 라인으로 확정했고 민선 7기가 이어받아 공모사업 절차를 지속해왔다”고 밝혔다.
시가 우선사업자로 선정되었던 서진건설과 법적 분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새 사업자를 선정하려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대책위는 “시가 갑자기 어등산 개발사업의 가이드라인 변경안을 발표했다. 급한 사정이 무엇인지는 모르겠다. 시는 복합쇼핑몰을 유치로 되돌아가 개발수익을 지역상권과 맞바꾸려는 구태행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대책위는 “민선 7기 광주시가 개발을 명분으로 또다시 복합쇼핑몰을 유치하고 지역 상공인들의 희생을 요구하는 구태를 반복한다면 자영업 시민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