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5월이면 전북대학교 민주광장에 있는 이세종 열사 추모비 앞에서 5·18 추모행사가 열린다. 〈한겨레〉 자료사진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과 추모행사가 전북에서도 열린다.
5·18민중항쟁기념 전북행사위원회는 5월17~27일 동안 전북대 등에서 5·18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행사를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행사 주제는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이다.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희생마저 두려워하지 않았던 5·18 정신을 이어받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17일 오후 5시 전북대 민주광장에서는 5·18민주화운동 기념식과 이세종 열사 43주기 추모식이 열린다. 올해 행사의 특징은 ‘세대가 함께한다’는 점이다. 기념식에서는 청년 활동가의 기념사가 예정돼 있다. 그동안 원로 시민이 주로 ‘5·18을 잊지 말자’고 이야기했다면 이제 청년 활동가가 5·18을 맞이하는 생각을 밝힌다.
1980년 5월 당시 이세종 열사가 입었던 피 묻은 옷. 전북대박물관 제공
이세종(당시 20·농학과 2년) 열사는 1980년 5월17일 전북대 제1학생회관에서 ‘비상계엄 철폐 및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며 농성하던 중 18일 0시부터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계엄군이 교내로 진입하자 학생회관 옥상으로 달아났다. 그 뒤 18일 새벽 6시께 학생회관 옆에서 온몸이 피투성이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사인을 ‘단순 추락사’로 발표했으나 시신 여러 군데에서 피멍이 발견돼 계엄군에 의한 집단 폭행 의혹이 제기됐다. 이후 이 열사는 국립 5·18민주묘지에 안장됐고 민중항쟁 첫 희생자로 인정받았다.
이세종 열사의 수험표. 전북대박물관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 열사의 모교인 전라고등학교도 18일 자체적으로 추모식을 열고 고인의 숭고한 희생을 기린다. 전날인 17일에는 전북5월동지회에서 전라고 학생들에게 이세종 장학금을 전달할 예정이다.
또, 25일 전북대 국제컨벤션센터에서는 전북지역 민주화운동을 돌아보는 학술제가 열리고, 27일 전주신흥고에서는 1980년 5월 당시 전국 최초의 고교생 시위였던 ‘5·27 시위’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린다. 원광대에서는 18일 임균수 열사 추모식과 20일 민족민주 동문 합동 추모제를 개최한다. 1980년 당시 원광대 한의대생이던 임 열사는 5·18민주화운동 시위에 나섰다가 계엄군 발포로 숨졌다.
5·18관련 올해 전북행사 포스터.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각 행사장에서는 ‘5·18 전북사진전’도 열린다. 1980년 4~5월 신군부 세력에 맞선 전북지역의 민주화운동과 이세종 열사의 유품, 당시 신문 보도 등을 사진으로 제작해 전시한다.
행사를 주관하는 전북위원회에는 전북5월동지회를 비롯해 전북민중행동, 전북시민사회연대회의, 전북지역대학민주동문협의회, 6·15남측위원회 전북본부, 전북대 총동창회, 전라고 총동창회, 신흥고 총동창회 등 도내 120여개 기관·단체가 참여했다.
5·18관련 올해 전북행사 일정.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