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월 5·18항쟁 때 한 시민이 공수부대 군인 앞에서 무릎을 꿇고 앉아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일부 5월 단체가 특전사동지회와 강행하는 대국민 선언식에 참석하는 특전사회 회원 중 5·18 당시 광주 현장에 있었던 사람은 3~5명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다은 광주시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북구2)은 16일 페이스북 글을 통해 “19일 국립 5·18묘지에서 열릴 예정인 대국민 선언 행사에 특전사 중 80년 5월에 광주에 있었던 사람은 3~5명”이라며 “150여명의 (참석자) 군인은 80년 5월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화해의 상대방의 될 수 없다”고 밝혔다.
‘특전사동지회와 함께하는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 선언식’(이하 선언식)은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와 사단법인 특전사동지회 주최로 19일 오전 11시 광주 5·18기념문화센터 2층 대동홀에서 열릴 예정이다. 선언식 이후 국립5·18민주묘지 합동 참배 일정도 잡혀 있다. 특전사 군인 150여명은 19일 특전사 군복을 입고 묘지를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가해자들을 상대로 한 국가 차원의 진상 조사가 계속 중인 상황에서 대규모 행사를 열어 1980년 5월의 피해자와 가해자가 함께 모여 포용과 화해를 한다는 의미 부여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5월 일부 단체가 선언식 개최 과정에서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던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정 의원은 “지역 내 반대 성명이 줄을 잇는 가운데 행사를 진행해야 할 필요성에 공감을 얻으려면 5·18 진상조사위원회와의 절차 협의와 추가 진술자 확보 가능성에 대한 진지한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며 “가해자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또 다른 이의 트라우마를 가벼이 여기는 일은 정당화될 수 없는 만큼 반대하는 당사자들의 목소리부터 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언식을 중단하고 5월 2개 단체에 토론을 제안했다. 정 의원은 “5·18이 43년이 이미 흘렀고, (선언식이) 최초이기에, 마지막일 수 있기에 19일 예정된 행사를 그다음 주 혹은 그다음 달로 미루지 못할 이유가 없다”며 “86년 9월에 태어나 5·18을 공부하고 역사 왜곡 세력을 상대로 수년간 소송을 진행했으며, 관련 현안에 지속해서 목소리를 내는 저는 5·18을 공격하거나 망치려는 사람이 아니라 지키려는 사람이다. 토론하자”고 제안했다.
한편, 정 의원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동료 변호사들과 함께 약 7년간 5·18을 공격하는 세력을 상대로 매년 소송을 진행하는 등 5·18 역사 왜곡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왔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