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와 전남도가 상생 1호 사업인 반도체 특화단지를 유치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8일 광주시 설명을 종합하면, 정부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전국에 최대 3곳의 반도체 특화단지를 지정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10일 연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설명회’엔 지자체 공무원들과 기업체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했을 정도로 관심이 높았다. 정부는 다음 달 27일까지 접수를 진행한 뒤 서류심사와 현장 실사를 거쳐 올 상반기 내 최종 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공동 추진위원회를 꾸려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광주시와 전남도의 상생 1호 사업이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고, 윤석열 대통령의 광주의 지역 핵심 공약도 ‘광주 에이아이(AI)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이다. 윤창모 광주시 차세대산업과장은 “전남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해 ‘아르이(RE)100’ 기반 시설을 조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르이100은 재생에너지 전기만 100%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업들의 글로벌 캠페인이다.
‘국가 첨단전략 산업법’ 제16조에는 ‘비수도권 우선 고려’ 조항이 있다. 비수도권 중 광주는 첨단3지구에 연구개발특구(25만평)를 조성 중이어서 반도체 특화단지 터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광주시 쪽은 “첨단3지구 인근 신룡지구와 전남 장성 남면 등지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면 최대 300만평 규모의 단지 조성이 가능하다”며 “광주에 세계 2위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글로벌 기업인 앰코테크놀로지가 있어 관련 산업 기반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