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전 10시50분께 강원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 명주사 인근 야산에서 S-58T 기종 중형 임차 헬기가 추락해 5명이 숨졌다. 연합뉴스
산불 감시를 위해 비행 중이던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등 5명이 숨졌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확인되지 않는다.
27일 오전 10시50분께 ㅌ사 소속 헬기(기장 이아무개·71)가 강원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 명주사 인근 야산 중턱에 추락했다. 이 헬기는 오전 9시30분께 속초시 노학동 옛 설악수련원 주차장에서 이륙한 터였다. 추락 현장에서는 기장과 부기장(김아무개·54), 정비사(20대 남성)의 주검 3구와 신원을 알 수 없는 여성 2명의 주검이 발견됐다.
강원소방본부와 경찰은 헬기 2대 등 소방장비 40여대와 140여명의 인력을 사고 현장에 투입했다. 추락 당시 발생한 불길이 거센 탓에 구조와 진화 작업은 쉽지 않았으나 추락 1시간여 뒤 산불은 완전히 진화됐다. 양양소방서 쪽은 “한 주민이 ‘헬기가 산불 계도 방송을 하더니 조금 지나 굉음이 들리고 시커먼 연기가 치솟았다’며 119에 신고했다”며 “헬기는 형체를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부서지고 탔다”고 말했다.
사고가 난 헬기의 실제 비행은 이륙 전 당국에 제출한 ‘비행계획’과는 차이가 있다. 오전 8시51분께 서울지방항공청 양양공항출장소에 전화로 접수된 비행계획 신고를 보면, 기장을 포함한 2명이 오전 9시30분부터 3시간 동안 산불 계도 비행을 한다는 게 뼈대를 이룬다. 서울지방항공청 관계자는 “3명이 더 탄 이유가 파악되지 않는다. 계획 외 탑승 인원 중 1명(정비사)을 뺀 여성 2명의 신원도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며 “탑승자들이 모두 숨져 추가 탑승 이유를 밝히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사고 원인도 오리무중이다. 추락 헬기는 미국 시코르스키사가 제작한 S-58T 기종(등록번호 HL9678)으로, 1975년에 제작된 노후 헬기다. 1989년 7월 울릉에서 경북 영덕으로 비행하다 추락해 13명이 숨진 사고 헬기와 동일 기종이다. 기체 결함이나 정비 불량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속초시와 고성·양양군 등 사고 헬기를 임차해온 지방자치단체에선 사고 원인에 대해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국토교통부 산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사고 원인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현장에선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로선 사고 원인을 단정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 정확한 원인 조사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불 감시 헬기 추락 사고는 비교적 잦다. 국토부 자료를 보면, 2011년 5월 기상 악화 등을 이유로 산림청 소속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등 2명이 숨졌으며, 2012년 2월에는 대구 달성에서 기계 오작동에 따른 불시착 사고가 있었다. 2016년 1월과 2017년 11월에도 각각 전북 김제와 전남 보성에서 헬기 추락 사고가 있었다.
송인걸 박수혁 김규현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