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지역 시민단체 대표들이 22일 오전 일산대교 톨게이트 앞에서 일산대교 무료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행복한미래교육포럼 제공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등 경기 서북부 지방자치단체들과 경기도의회 등을 중심으로 시작된 ‘일산대교 무료화’ 촉구 목소리가 지역 시민사회단체들로 번지고 있다.
행복한미래교육포럼, 고양여성민우회 등 고양지역 26개 시민단체는 22일 일산대교 요금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연금공단은 전국에서 가장 비싼 일산대교 통행료를 즉각 폐지하고 무료화해야 한다”며 “조속히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통행료 거부 등 시민들의 강력한 저항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민단체 대표들은 △무료화 촉구 연속 1인시위 △시민 서명운동 △법률 소송 등 다각적인 항의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최창의 행복한미래교육포럼 대표는 “조속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요금소 요금 동전 납부, 통행료 거부 등 강도 높은 시민 저항운동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양시 법곳동과 김포시 걸포동을 연결하는 길이 1.84㎞ 일산대교는 한강 다리 27개 중 유일한 유료도로로, 통행료마저 비싸 경기 서북부 시민들의 이동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통행료는 2009년 국민연금공단이 지분을 인수한 뒤 두차례 인상돼 현재 통행료는 경차 600원, 소형 1200원, 중형 1800원, 대형 2400원이다. 소형차 요금인 1200원을 기준으로 하면 1㎞당 652원으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109원) 등 주요 민자도로보다 3~5배 비싸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달 18~23일 도민 2천명을 대상으로 한 일산대교 관련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90%가 통행료 조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적정 조정률로는 ‘50% 인하'를 꼽은 응답이 29%로 가장 많았고, ‘무료화' 의견도 24%에 이르렀다. 이어 ‘20% 인하'(14%), ‘30% 인하'(13%) 순이었다. 특히 일산대교 이용자가 많이 사는 고양·파주·김포시 주민들은 36%가 무료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캐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인터넷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2%포인트다.
박경만 홍용덕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