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전 경기도청 구관2층 브리핑룸에서 엄진섭 환경국장이 경기도형 그린뉴딜 정책 추진 발표를 하고 있다.
경기도가 내년에 도시 숲 376곳을 조성하는 등 4204억원을 들여 한국판 뉴딜정책과 지역 발전전략을 연계한 ‘경기도형 그린뉴딜' 종합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
엄진섭 경기도 환경국장은 30일 브리핑을 통해 “경기도는 총사업비 4204억 원(국비 포함)을 투입해 저탄소 교통수단 구축, 공공건물 그린 리모델링, 공공 산림 가꾸기 등 18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친환경 저탄소 교통수단 구축을 위한 그린 모빌리티 보급이 추진된다. 전기 화물차를 구매하는 도민에게 2300만∼2700만원, 전기 이륜차를 사면 18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도내에서 운영 중인 경유 버스를 2027년까지 친환경 전기버스와 천연가스(CNG) 버스로 전면 교체하는 등 운송체계도 저탄소 방식으로 전환된다.
이와 함께 준공 후 15년 이상 된 낡은 공공 건축물을 대상으로 고성능 단열, 창호, 설비 등을 지원, 에너지 효율과 실내 공기 질을 개선하는 공공건물 그린 리모델링도 추진한다.
도심지에는 가로 숲길, 학교 숲, 쌈지공원 도시 숲 등 생활권과 산업단지 주변에 376개의 도시 숲을 조성하고, 국토교통부 수소 시범도시 공모사업에 선정된 안산시와 수소 교통복합기지로 선정된 평택시에 수소 인프라 설치 등을 지원한다.
정부의 ‘2050 탄소 중립’ 선언 기조에 맞춰 주민이 주도하는 에너지자립 마을과 공공용지를 활용한 햇빛발전소 구축 사업도 확대된다.
마을과 시군, 시공업체 등으로 구성된 주민협의체가 주도해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 등 에너지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태양광) 설치를 지원하는 에너지 자립 마을 사업도 확대된다. 2015년부터 올해까지 16개 시군의 76개 마을에 7천㎾를 설치한 데 이어 내년에는 13개 시군의 47개 마을에 3930㎾가 추가로 설치된다.
공공용지를 활용한 햇빛발전소(태양광발전)도 확대 추진된다. 경기도는 태양광 시설 설치가 가능한 공공용지를 발굴한 후 이곳에 도내 24개 에너지협동조합이 주축이 되는 햇빛발전소 설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