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잠실한강공원 일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경기도민의 절반 가량은 결혼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20대 여성 10명 중 3명 정도만이 결혼에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가 지난달 16~18일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결혼, 자녀, 저출생’과 관련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결혼을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는 응답은 52%로 나타났다.
2017년 4월 조사에서는 63%, 2019년 10월에는 54%로 3년 만에 11%포인트가 줄었다.
20∼40대 연령층에서는 결혼해야 한다는 응답이 47%로 절반에도 못 미쳤으며 20·30·40대 여성의 응답은 각각 32%, 40%, 40%로 더 낮았다.
결혼 뒤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65%로 나타났다.
2017년 4월과 2019년 10월 조사 당시 각각 74%, 69%에 견줘 점차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응답이 줄어드는 추세다. 20∼40대에선 58%가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답했으며 이 역시 20∼40대 여성 응답은 각각 42%, 51%, 59%로 낮게 조사됐다.
비혼 증가 이유로는 집값, 전·월세 등 과도한 주거비용 부담(31%)이 1위로 꼽혔고 다음이 출산·양육 부담(25%), 개인의 삶·여가 중시(18%) 순이었다.
우리 사회 저출생 문제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86%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저출생의 원인으로는 양육비·사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33%), 집값 등 과도한 주거비용(18%), 개인의 삶 중시(13%) 순으로 꼽았다. 남성은 과도한 주거비용(24%)을 여성(12%)보다 2배 높게, 여성은 개인의 삶 중시(16%)를 남성(10%)보다 높게 꼽았다.
저출생 대책으로는 고용·주거 등 안정적 기반마련 지원(36%), 아동수당, 의료비, 교육비 등 경제적 지원(18%), 국공립 어린이집·유치원 확충, 돌봄서비스 확대(16%), 근로시간 단축, 육아휴직 등 아이 돌보는 시간 보장(15%)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자동응답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2%포인트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