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경기도 기본소득 공론화 조사 숙의토론회 모습. 경기도 제공
기본소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수록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하고 증세에 동의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지난 8월4~18일 4500명을 대상으로 한 1차 여론조사와 지난달 26~27일 도민참여단 216명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온라인 숙의 토론회를 벌인 뒤 2, 3차 여론조사를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결과, 숙의 토론에 참여한 경기도민의 79%가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론화 조사는 정책에 관한 충분한 토론과 숙의 과정을 거친 뒤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본소득 도입에 따른 경기도민 찬반 의견. 공론화에 참여할수록 찬성비율이 높았다. 경기도 제공
1차 조사는 아무런 사전학습 없이, 2차 조사는 혼자 토론 자료집을 학습하고 이뤄졌고 3차 조사는 온라인으로 개최된 토론회에 참가해 전문가발표·분임토의·질의·응답 등 충분한 숙의 과정을 거친 뒤 이뤄졌다.
‘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조사에서는 1차 조사 당시 50% 수준이던 ‘찬성한다’는 응답 비율이 2차 조사에서 66%, 3차 최종조사에서 79%까지 1.6배 높아졌다.
‘기본소득제가 도입 시 추가 세금 부과에 동의하는지’에 대해 1차 34%, 2차 46%에 이어 3차에서는 67%가 찬성 의견을 냈다.
기본소득 도입에 따른 재원마련과 관련해 3가지 모델에 대한 의견 조사도 이뤄졌다.
‘기본소득형 토지세’ 추진에 찬성하는 의견은 1차 39%, 2차 53%, 3차 67%였다. 탄소세 추진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1차 58%, 2차 68%, 3차 82%, 소득세 추진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1차 43%, 2차 52%, 3차 64% 등으로 나타났다.
기본소득의 도입과 재원마련에 대한 도민의 인식은 숙의 과정을 거치면서 뚜렷하게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경기도는 설명했다.
도민참여단은 정책 실행방안으로 △기본소득에 대한 시범사업을 할 것 △조세 투명성을 확보해 정부 신뢰도를 높일 것 △기본소득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산을 위해 계속 노력을 할 것 등을 제안했다
공론화 조사 연구자문위원회 위원인 강남훈 한신대 교수(경제학)는 “기본소득같이 복잡한 쟁점이 있는 정책은 단순 여론조사보다 숙의와 토론을 하면서 도민의 뜻을 물어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도민 3명 중 2명은 기본소득형 토지세, 탄소세, 소득세까지도 낼 용의가 있다고 했는데 이는 공짜점심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부담할 것은 부담하고 보장받을 것은 받겠다는 태도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