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2월, 20여가지의 사학비리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인수 전 수원대 총장이 첫 공판을 받기 위해 학교 관계자들의 보호를 받으며 수원지법에 들어서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2017년 교육부 실태조사 결과로 비리가 적발돼 해임된 이인수 전 수원대학교 총장이 이사장 행세를 하며 두차례나 교수임용 면접에 참여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교비로 정치인에게 후원금을 내는 등 수십가지의 사학비리에 연루돼 재판을 받고 있는 이 전 총장에 대해 또 다른 사립학교법 위반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지난 2월 관련 내용의 신고를 받은 바 있는 교육부가 최근 국정감사에서 “해당 사안을 몰랐다”고 답변하면서 비리 사학에 대한 고질적인 관리·감독 부실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11일 <한겨레> 취재 결과, 2018년 1월 해임된 이 전 총장이 2018년 하반기와 2019년 교수임용 면접에 잇따라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면접에 응시한 복수의 지원자들은 “당시 해임된 것으로 알던 이 전 총장이 면접에 들어와서 놀랐다”며 “이 전 총장이 스스로 지원자를 상대로 직접 질문도 했다”고 말했다. 이 전 총장은 해임 이후에도 학교 행사 등에서 이사장으로 불리고 있다. 당시 박진우 총장은 면접에 참여조차 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면접 장소가 이 전 총장 소유 건물 개인사무실에서 진행된 점도 이 전 총장의 면접 참여를 방증한다. 2018년 하반기 수원대학교 교무과가 응시자들에게 보낸 휴대전화 문자를 보면, 면접 장소가 ‘서울 강남구 역삼동 올림피아센터 빌딩 5층’으로 돼 있다. 해당 층은 2014년 교육부 감사 결과, 이 전 총장이 개인사무실로 사용하다 적발된 곳이다. 전필건 전 교육부 사학혁신위원은 “중등교육기관에서 해임된 자가 이사장을 사칭하며 인사 등에 개입하는 사례는 있지만 고등교육기관에서는 드문 일”이라며 “수원대는 2017년 교육부 감사에서 전원 임원취임승인 취소 처분을 받고 교육부를 상대로 행정소송 중이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임원취임승인 취소 사유가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앞서 지난 7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이 전 총장의 교수 채용 개입 관련 질의가 나온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이날 강민정 열린민주당 의원은 박백범 교육부 차관에게 “2018년 1월 해임된 수원대 이인수 전 총장이 교수임용 면접에 참여했다는 제보가 들어왔는데 알고 있느냐”고 묻자, 박 차관은 “저희(교육부)는 처음 접하는 사실이고 조사해보겠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해당 내용은 지난 2월, 교육부 사립대학비리신고센터에 접수된 사안인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교육부에 신고한 ㄱ씨는 “8개월 동안 아무 소식도 없다가 의원 질의에 교육부 차관이 금시초문이라는 식으로 답해 놀랐다. 질의가 없었으면 그냥 묻으려고 한 거 아니냐”고 했다.
강 의원은 “해임된 총장이 인사개입을 하도록 방조한 수원대 임원 전원을 승인취소하는 게 마땅하다”며 “관리·감독 책임을 맡고 있는 교육부가 국감 질의로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답변하는 것도 한심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교육부의 관리·감독과 감사 기능이 미흡한 것이 문제의 근본 원인이다. 교육부는 비리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상시 감사 체제를 갖춰야 한다. 사립대학도 국공립대처럼 3년마다 정기 감사를 실시하는 고등교육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수원대는 “임용 관련 서류를 확인해 본 결과 이 전 총장이 면접에 참여했다는 기록이 없다”며 “면접을 본 역삼동 건물엔 법인 사무실이 있어 지리적 편리함 때문에 그곳에서 최종 면접을 보곤 했다”고 했다. 또 “이 전 총장은 그 어떤 학내 행사에도 현재 참여하지 않고 있는데 이러한 논란이 일어서 당혹스럽다”고 덧붙였다.
오승훈 기자
vi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