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수도권

청소년들 무슨 고민? 코로나 장기화에…일탈·비행↓ 가족·성격↑

등록 2020-08-23 11:02수정 2020-08-23 11:11

정신건강에서는 우울과 강박, 불안 등 호소 많아
경기도청.
경기도청.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청소년들의 고민 내용도 일탈이나 비행에서 생활습관과 외모, 성과 가족, 성격 등 비중이 커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3일 경기도가 올해 1~8월 경기도 청소년전화 1388 상담내용을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한 결과, 올해 가장 많은 증가세를 보인 것은 생활습관·외모가 355건으로 전년(264건)에 견줘 34.5%가 늘었다. 성 문제도 1231건으로 전년(958)보다 28.5% 중거했다.

생활습관과 외모의 경우는 무기력한 생활, 그로 인한 자존감 저하, 잘못된 습관과 관련한 상담이 많았다. 성 문제는 엔(n)번방 등 디지털 성범죄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성 욕구와 성 충동, 성폭력과 성희롱 관련 상담이 증가했다.

가족은 3910건으로 전년 3133건에 견줘 24.8%, 성격 1688건으로 전년 1398건에 견줘 20.7% 증가했다. 정신건강도 7041건으로 전년도(5953건)보다 18.3% 늘었다. 가족 관련 상담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생활습관,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 문제 등에 따른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이 많이 차지했다.

반면 대인관계는 4722건으로 전년(6822건)에 견줘 30.8% 줄었으며, 일탈·비행도 2098건으로 전년(2670)보다 21.4% 감소했다. 학업진로 고민도 2,650건으로 전년(3231건)보다 18% 줄었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고 집 안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면서, 청소년들의 고민 상담이 대인관계나 일탈, 비행 부분은 줄어드는 대신 생활습관·외모, 성, 가족 관련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상담 건수로는 정보제공 문제 이어 정신건강 문제가 7041건으로 2위를 차지했다. 정신건강 중에서도 우울과 위축, 강박과 불안, 자살, 발달문제, 정신증적 문제 관련 상담이 증가했다. 또래와의 만남 감소, 학업계획 차질에 따른 우울, 불안과 트라우마 사건, 자살, 자해 문제 관련 상담도 많았다.

경기도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하면서 외출 자제, 집안 생활 지속, 개학 연기 및 온라인 개학 등 환경변화 때문으로 보고 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시민단체 “오세훈, ‘윤 변호’ 배보윤·도태우 서울 인권위원서 해촉하라” 1.

시민단체 “오세훈, ‘윤 변호’ 배보윤·도태우 서울 인권위원서 해촉하라”

신령이 노닐던 땅, 경주 낭산 ‘왕의 길’을 걷다 2.

신령이 노닐던 땅, 경주 낭산 ‘왕의 길’을 걷다

제주에 발묶인 1만5천명…‘강풍·눈보라’ 항공기 무더기 결항·지연 3.

제주에 발묶인 1만5천명…‘강풍·눈보라’ 항공기 무더기 결항·지연

국내 첫 ‘철도 위 콤팩트시티’…남양주 다산 새도시에 건설 4.

국내 첫 ‘철도 위 콤팩트시티’…남양주 다산 새도시에 건설

‘바지 집주인’ 징역 5년 선고…전세사기 일당에 명의 빌려줘 5.

‘바지 집주인’ 징역 5년 선고…전세사기 일당에 명의 빌려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