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해마다 오산시와 같은 규모의 인구가 유입되는 등 인구 규모가 커지면서 약화하는 지역 정체성을 강화할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7일 ‘경기도의 지역 정체성 강화 해법-천년왕도의 기전(畿甸) 문화제 도입으로 시작’이라는 보고서에서 경기도 인구는 1985년 479만4135명에서 30년 후인 2015년 1174만4210명으로 695만여명 가까이 늘었다. 이는 매년 오산시 인구와 비슷한 규모인 23만여명이 늘어난 것으로 전국 총인구 비율은 11.9%에서 24.3%로 증가했다.
인구 증가의 주된 요인은 1기 새도시(1990년대)와 2기 새도시 개발(2000년 초)로 풀이된다.
반면 경기도 토박이 인구의 비중은 1960년 97.2%에서 2015년 25.3%로 71.9%P 하락했다. 경기도민 4명 중 1명만이 토박이가 차지하면서 경기도는 점차 서울의 위성도시로 이미지가 굳혀지는 등 도민 정체성이 약화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20년간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약 43만명 증가(1995년 84만명→2015년 127만명)하면서 경기도는 서울시의 베드타운화 등 위성도시 경향을 보였다.
2019년 경기연구원이 시행한 도민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경기도민이 느끼는 경기도 이미지로 ‘수도권·서울 근교’가 65.6%로 1위를 차지해 서울의 위성도시인 ‘주변성’ 이미지가 굳어졌다고 분석했다.
경기연구원은 이에 따라 21세기 경기도는 최대 인구수와 국민소득(GRDP) 1위로 우뚝 선 만큼 서울의 위성도시라는 인식에서 탈피하고 경기도민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며 ‘기전 문화제’ 도입을 대안으로 제안했다.
기전 문화(畿甸)는 천년왕도인 경기도와 인천시를 대표하는 문화로 평택농악, 양주별산대놀이, 양주소놀이굿 등이 포함된다. 매년 10월19일 ‘경기도민의 날’에 도민이 참여하는 개막식, 거리행진, 기전 문화 체험행사를 개최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