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천 쿠팡 물류센터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집단으로 발생한 27일 오후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 쿠팡 부천 물류센터에 담장에 운영 중단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가 부천 쿠팡 물류센터 직원이 다른 물류센터에서 교류 근무한 사실이 확인되면 쿠팡의 도내 16개 모든 물류센터에 대해 시설 내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리기로 했다. 부천 쿠팡 물류센터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온 뒤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조처다. 이곳에서 일한 간선배송 기사 14명은 열흘째 소재 파악이 되지 않고 있다.
경기도는 2일 쿠팡㈜에 ‘부천 쿠팡 물류센터 관련 감염확산 우려 사항 의견 조회’ 공문을 보내 이같이 통보했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최근 다수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와 집합금지 행정명령 대상지가 된 부천 쿠팡 신선 물류센터에서 근무했던 일용직, 화물차 간선기사 등이 쿠팡의 다른 물류센터로 교류돼 근무하고 있어 지역 감염 확산이 우려된다는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고 그 배경을 밝혔다.
경기도는 이에 따라 “해당 내용이 사실로 판명될 경우 쿠팡의 경기도 내 물류센터 16곳에 대하여 전면적인 시설 내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하려고 검토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향후 운영계획 등 쿠팡 쪽 의견을 3일까지 회신해달라고 쿠팡 쪽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경기도가 도내 쿠팡 물류센터 16곳 전체에 대해 집합금지 행정명령 검토에 나선 것은 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발생했는데도 일용직 노동자에 대한 보호나 적극적인 방역 협조가 제대로 안된다는 제보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나서 추가 감염확산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지를 강조한 영향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달 31일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회의’에서 박남춘 인천시장은 “부천 물류센터에서 확진자가 나온 뒤 회사 쪽이 ‘쿠팡 물류센터 직원에게 주문자들이 주문한 물량을 포장하거나 분류할 수 없으니 다른 지역 물류센터에 가서 근무하라’고 종용하는 문자를 보냈다는 내용의 시민 제보가 접수됐다”며 “쿠팡 직원 중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해 근무하는지를 ‘크로스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추가 감염의 확산과 노동자의 보호가 중요한 만큼 쿠팡 쪽의 의견을 듣고 사실 여부를 따져서 추가 집합금지 행정명령의 시행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0시 기준으로 쿠팡발 확진자는 모두 116명이며 이 중 경기도 54명, 인천 43명, 서울 19명이다. 또 쿠팡 직원 등 5008명 가운데 4572건에 대해 검사를 마친 상태다. 하지만 부천 물류센터 간선기사 640명 중 14명은 여전히 주소 불명의 ‘미확인’ 상태다.
쿠팡에는 물류센터 외에 소비자에게 직접 물건을 배송하기 전 물건을 모아두는 이른바 거점창고인 캠프가 전국에 168곳 있다. 간선기사는 쿠팡 물류센터에서 거점창고인 캠프로 물건을 실어나르는 요원이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