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지역 17개 시민사회단체가 6일 경기 수원외국인학교의 설립자 변경 중단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전교조 경기지부 제공
136억원의 교비를 불법 전용하는 등 비리가 드러난 경기 수원외국인학교와 관련해 경기도 수원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세금 250억원을 투자한 경기도와 수원시가 학교의 정상화는 물론 불투명한 설립자 변경 의혹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와 수원환경운동센터, 수원경실련 등 17개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7일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수원외국인학교 외국인 총감(교장)의 먹튀에서 수원외국인학교 학생들의 교육권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현재 진행 중인 불투명한 설립자 변경을 중단시켜달라”고 요구했다. 수원시 영통구에 위치한 경기수원외국인학교는 2006년 9월 경기도와 지식경제부가 건축비 150억원을, 수원시가 100억원 상당의 부지(3만3천㎡)를 50년 무상 제공하는 등 250억원 전액 투자해 설립됐다. 이 학교는 외국인 개인(토마스 제이 팬랜드)이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다.
이들은 “국민 세금으로 만들어진 이 학교는 (학교 총감인 팬랜드가) 교비 136억원을 불법 전용하는 등 파행 운영됐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권이 배제되고 정상적 학교 운영화를 요청한 학부모들은 고발되는가 하면 학교 운영의 공공성이 잃어 버린 상태”라고 지적했다.
또 “최근에는 학교 설립자가 팬랜드로부터 국내 한 의료재단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투명하지 못한 운영 공모와 검증 없는 일방적 운영자 선정이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경기도와 수원시는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들은 특히 수원시에 △경기 수원외국인학교 전 총감 토마스 펜랜드를 재조사할 것과 △경기 수원외국인학교의 투명하지 못한 독단적 운영 공모 및 검증없는 일방적 운영자(설립자) 선정을 즉각 중단하게 할 것을 요구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