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위기 극복을 위해 자체적으로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한 경기도 내 시군이 24곳으로 늘었다. 지난 29일 11곳에서 사흘 만에 두배 이상으로 뛴 것이다. 이들 지역 주민들은 경기도가 일괄 지급하는 10만원에 자체 지원금을 더해 모두 15만~50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받게 된다.
1일 경기도의 말을 종합하면, 재난기본소득을 자체적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힌 도내 시군은 모두 24곳이다. 지난 29일에 견줘 13곳이 늘어난 것이다. 추가된 지역은 광주·의정부·하남시(5만원), 파주·평택·시흥·성남·용인·양주시·가평군(10만원), 동두천시(15만원), 연천군(20만원), 안성시(25만원)이다. 수혜 대상은 839만여명이다. 도내 전체 31개 시군 가운데 보편적 재난기본소득을 자체 지급하지 않는 시군은 수원·부천·안산·남양주·오산·구리·고양시 등 7곳이다. 이 가운데 고양시는 소득 하위 80% 이하 주민에게 1명당 10만~12만원씩을 선별 지원한다.
자체적으로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한 지방정부가 늘어난 것은 시민들의 지급 요구가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정부가 소득 하위 70% 가구에 지급하기로 한 ‘긴급재난지원금’의 재원 9조1천억원 가운데 지방정부 부담금 2조원에 대해 지방정부가 자체적으로 지급하는 재난기본소득 예산을 포함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체 도민에게 10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재난기본소득을 카드형 지역화폐뿐만 아니라 신용카드와 선불카드로도 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역화폐나 신용카드로 받을 경우, 오는 9~30일 사이 ‘경기도형 재난기본소득 누리집’에서 경기도민임을 인증하고 관련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카드형 지역화폐는 신청일로부터 이틀 안으로 10만원이 충전되며, 신용카드는 ‘완료’ 문자메시지를 받은 뒤에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쓸 수 있다. 선불카드는 오는 20일부터 7월31일까지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544곳과 농협 지정 1042곳에서 발급받아 충전된 10만원을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쓰면 된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