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재난 생계수당을 지급한 경기 화성시가 83만명의 전 시민에게 1명당 20만원씩의 재난소득을 지원한다. 경기도가 모든 주민 1명당 10만원씩의 재난소득을 지급하는 것과 별도로 주민 1명당 20만원씩을 추가로 지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성시 주민은 4인 가구 기준으로 모두 120만원의 재난소득을 받게 된다.
서철모 경기 화성시장은 27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모든 시민 1명당 지역화폐로 20만원씩의 ‘화성형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지급 대상은 화성시에 거주하는 시민으로 3월 말 현재 기준으로 83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서 시장은 “재난생계수당이 코로나19로 당장 굶어 죽거나 문을 닫게 될 어려움에 부닥친 소상공인 3만6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긴급 지원이라면 화성형 재난소득은 코로나19로 유례없는 경제활동과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태에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본 주민들과 지역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화성형 재난소득을 위해서는 사전에 조례 제정이 선행돼야 한다. 또한 구체적인 지급 대상에 대한 기준과 지급 시기는 코로나19 진정화 단계에서 시행하되 구체적 일정은 추후 발표하기로 했다. 화성형 재난기본소득에는 모두 1660억원이 들어간다. 재난관리기금 450억원과 통합관리기금 770억원, 조정 재원 440억원이 투입된다.
화성시는 앞서 지난 20일 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에게 약 200만원씩의 ‘재난생계수당’ 지급에 나섰다. 재난생계수당은 코로나19 사태로 매출이 감소한 소상공인에게 약 200만원씩 주는 긴급 생계비(726억원), 소득이 감소한 직장인 등에게 50만원씩 주는 긴급복지지원비(100억원), 확진자 방문지로 공개돼 영업에 피해를 본 자영업자에게 최대 2천만원을 주는 영업 손실보상비(20억원) 등으로 이뤄졌다.
서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화성시의 대책은 두 가지 길로 하나는 당장 긴급 생계비 지원이 필요한 소상공인 지원이고 다른 하나는 전 주민을 통한 지역 경제 살리기다”며 “긴박한 시기에 시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쏟고자 한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