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9일 12시 이천시 이황1리 마을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방지 대응태세 긴급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의 대응 사례를 참고해달라.”
19일 대구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면서 이날 긴급하게 열린 전국 광역 시·도 회의에서 정세균 국무총리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경기도의 대응 사례를 참고할 것을 주문했다.
정세균 총리는 이날 21개 중앙 부처와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코로나 19 대응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대구에서 한 번도 코로나 19 집단감염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쉽지 않을 것으로 안다. 경기도의 경우 최대 지방 정부답게 코로나 19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대구시를 비롯한 각 지방정부에서 (경기도의 사례를) 대응에 적극 참고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도 “경기도는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공개, 역학조사관의 선제적 증원, 폐렴 환자 사전 전수조사 등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많은 모범 사례를 만들어 냈다. 다른 시·도에서도 경기도의 모범 사례를 적극 활용하여 대응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런 주문은 권영진 대구시장이 이날 대구시청에서 연 브리핑에서 “코로나 19가 이미 지역사회에 깊숙이 퍼져 대구시와 지자체 자체 역량으로 극복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말한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구는 초기 역학조사를 담당할 역학조사관이 2명 뿐인데다 격리병상인 음압 병실이 48곳에 불과한 상황이다. 반면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겪은 경기도는 코로나 19 발생 이후 초기부터 선제적 대응을 해왔다. 도는 지난 1월29일 코로나 19가 확산 기미를 보이자 기존 6명의 역학조사관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민간역학조사관 6명을 충원했다. 또한 지난 14일에도 공중보건의 12명을 충원해 현재 모두 28명의 역학조사관이 의심환자 사례 분류와 확진자 심층 역학조사 관련 자문에 신속히 나서고 있다.
확진자의 치료를 위한 음압병상도 현재는 분당서울대병원 등 3개 병원에서 국가지정 28병상으로 운영 중이지만 코로나 확산 진전 여부에 따라 60병상을 추가 확보가 가능하도록 준비했다. 최악의 경우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106병상의 추가 확보도 준비한 상태다.
이밖에 도는 코로나19와 관련해 △1일 2회 규칙적 정보 공개 △의료기관 종사자 선제적 전수조사 △중국 방문이력자 자체 자가격리 △자가격리자 1대1 전담관리제 △폐렴 환자 사전 전수조사도 실시하고 있다. △가짜뉴스 대응반 별도 운영 △도내 소상공인 및 상권 지원을 위한 자금 2천억 조기 지원 △경기도 콜센터 활용 130번을 통한 1339번 사각지대 조기 해소 등 감염병 대응에 대한 많은 모범 사례를 만들어 내서 시행 중이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