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경기도청에서 이재명 경기지사 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긴급 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증가하자 경기도가 기존 방역대책본부를 재난안전대책본부로 확대하고 병상 부족시 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을 활용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27일 오전 회의를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해 위기경보단계가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됨에 따라 기존 방역대책본부를 재난안전대책본부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보건건강국장이 맡은 경기도 방역대책본부는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재난안전대책본부(9개 반 43명)로 확대된다. 경기도 31개 시군 재난안전대책본부도 24시간 가동된다.
경기도는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입원 중인 고양 명지병원과 성남 서울대병원 외에 국군수도병원 등 이들 3곳의 국가기정입원치료병상이 보유 중인 26실(28병상)이 부족할 경우 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도 활용하기로 했다. 현재 의료원 산하에는 국가지정 병상 수준이 18병상, 음압 병상이 23병상 마련되어 있다.
경기도는 확진자가 늘어 추가로 병실이 부족하면 경기도의료원 전체를 활용하고 접촉자 격리시설로 경기도 인재개발원 수도권(41실)을 이용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이날 도내 선별진료의료기관으로 지정된 57곳에 대한 현장 점검을 마치는 한편 요양원 등 각종 의료기관의 중국인 간병인을 철저히 관리할 것을 시·군에 지시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민들의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빠르고 정확한 질병 관련 정보를 제공하겠다. 도민 여러분께서도 손 씻기와 마스크 착용 등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한겨레>는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감염증’ 관련 기사와 제목에서 ‘우한 폐렴’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기로 했습니다. 앞서 세계보건기구(WHO)는 해당 감염증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명명한 바 있으며, 새로 발병되는 바이러스 이름을 붙일 때 불필요한 편견을 유도할 수 있는 특정 지역이나 동물 이름 등을 피하도록 한 바 있습니다.